Heejoon Lee                  work     critic     publication     cv     contact
Mark


구축되고 확장된 회화적 공간

Pictorial Space: Constructed and Extended







글_심진솔
Text by Jin Sol Shim


서울문화재단 제공
Courtesy of Seoul Foundatuon of Art and Culture


    비계는 “높은 곳에서 공사를 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한 가설물”로 주로 건설현장에서 건축물을 지어 올리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설치되었다가 철수된다. 건축과정에서 비계는 공간과 공간을 연결하며 작업자가 발을 딛고 올라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필수적인 구조물의 역할을 하지만 완성된 결과물에는 흔적조차 남지 않는다. 비계에 가림막을 덧대어 공사현장을 시각적으로 차단하기도 하는데, 도시 경관 속 강관 파이프 그리드를 가로지르는 천막의 색 면은 가변성과 가능성을 상징한다.

    최근 이희준은 그동안 자신이 시각적 요소들을 구성해온 방식이 비계의 특성과 맞닿아 있음을 인지하게 되면서 이를 더욱 적극적으로 작품 제작 과정에 끌어들여 조형적으로 탐구하였는데, 그 결과들을 이번 개인전 《비계》에서 선보인다. 이번 전시를 위하여 이희준은 일상생활 속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건축물이나 주변 경관의 일부분을 촬영한 뒤 이를 확대하여 사용하였다. 건물의 낡고 갈라진 콘크리트 벽면, 깨지고 일부분이 탈락된 타일, 곡선형 철제 난간, 식물 문양의 건물 외벽 장식, 조경용 돌의 표면 등 모두 어딘 가에서 보았을 법하지만 너무나도 평범해서 인지하지 못하고 지나쳤을 일상적 풍경의 작은 단편들이다. 대다수의 현대인들은 많은 시간을 건축물 안에서 보내며 생활하지만, 대부분 자신을 둘러싼 건축물의 작은 부분들에 대해서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다. 이희준은 무심하게 지나치지만 우리의 일상생활을 구성하는 건축물과 풍경의 부분들로 우리의 시선을 이끌며 새로운 미적 경험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이를 위해 작가는 여러 기하학적인 시각 장치들을 사용한다.

    포토콜라주 방식은 2020년 <투어리스트> 시리즈부터 사용되었다. A4용지에 흑백으로 출력한 사진을 캔버스에 부착하고, 그 위에 아크릴 물감을 사용하여 선, 기하학적인 색 면, 도형과 같은 요소들을 더함으로써 이미지의 일부를 드러내고 가리는 방식으로 화면을 구성해왔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품들은 건축이라는 소재를 다룬다는 점에서 《이미지 아키텍트》 (2021)와 《날 것, 연마되고, 입은》 (2021) 전시의 주제와 연장선 상에 있지만, 《비계》에서 작가가 보여주는 작품들은 회화를 구축해 나가는 방식에 있어서 전작과 차이를 보여준다. 이전 시리즈에서 작가는 공간에서의 경험과 감정을 표현하고 담아내는 것에 관심을 두고 화면을 구성하였고, 화면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이 동등한 층위에서 유기적으로 배치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자신만의 조형적 시각 언어를 실험하고 탐구하고 형성하는 데에 보다 집중하여 비계의 특징을 기반으로 사진 이미지 위에 입체적인 공간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작업자가 비계를 딛고 건축물을 완성해가듯이 이희준은 사진 이미지 위에 개별 요소들을 단계별로 쌓아 올려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공간감과 깊이감을 극대화하였다. 작품의 화면을 가로지르는 얇은 수평, 수직, 대각선들은 마치 건설현장에서 도면을 옮겨 놓기 위해 사용하는 먹줄과도 같이 기준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선과 선, 그 사이에 위치한 색 면과 도형들은 서로가 서로를 받치고, 지탱하고, 세워주면서 2차원의 평면 위에서 점차 3차원적인 공간을 형성해 나간다. 작가 스스로 미장 행위에 비유하기도 한 스퀴즈를 이용하여 캔버스의 표면에 물감을 밀어 바르는 작업을 통하여 사진 이미지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가리고 드러내며 새로운 시각적 층위를 탄생시킨다. 이렇게 구축된 공간 사이로 자유롭게 배치된 작은 원형의 점들은 수직과 수평의 규칙을 흐트러트리며 화면에 생동감과 긴장감을 부여함으로써 미적인 즐거움을 느끼게 한다.

    이번 전시에서 비계의 개념은 작품 제작 방식 뿐만 아니라 작품을 보여주는 방식에도 적용되었다. 비계와 마찬가지로 전시는 일정 기간동안 임시적으로 공간을 점유하였다가 사라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전시장 내부 바닥을 타이백으로 보양함으로써 가변적인 공간으로 전환시켰다. 전시장의 가운데에는 작가가 회색 스티로폼으로 제작한 의자가 가로지르는데, 스티로폼이라는 가볍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재료로 제작된 의자는 전시의 임시적인 성격을 더욱 강조한다. 관람객들은 전시장에 들어오는 순간 화이트 큐브라는 견고한 전시공간이 아닌 임시적이고 가변적인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작가는 모든 인식의 가능성을 열어 두고 예술을 감상하고 경험하며 논의할 수 있는 하나의 장을 만든 것이다.

    이희준은 작업 초기부터 회화를 매체로 작업을 하면서도 공간에 대한 주제를 지속적으로 탐구해왔다. 그리고 회화 작품을 분할하고 재조립하여 미니어처 조각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물리적 공간을 점차 점유하는 시도를 해왔다. 이번 전시에서 이희준이 보여준 전시장 조성 방식을 통해 작가의 작업에서 공간의 영역이 회화와 조각이라는 매체적 테두리를 넘어 확장되기 시작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금천예술공장에서 전시하였던 설치작업 <파란 비계>(2022)을 기점으로 본격적화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파란 비계>는 건축현장에서 보양하는 데에 사용되는 펠트천을 사진 출력물과 함께 벽면에 병치하고 바닥을 펠트천으로 감싸 퍼포먼스와 아티스트 토크를 위한 다양한 용도의 실험적인 공간을 형성한 작업이었다. 회화에서 입체적으로 구축된 공간과 실제 공간 속으로 확장된 회화적 공간. 두 개의 공간이 교차하는 이번 전시는 공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심진솔

전시기획자. 역사에 존재하는 간극에 관심을 두고 현대미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현장에서 전시기획을 지속하며 예술을 매개로 소통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미술관과 반클리프 아펠을 거쳐 현재 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로 재직하고 있다.


    Scaffolding is a “temporary structure installed to aid construction works in higher altitudes.” It is typically erected temporarily during construction processes and gets dismantled upon the construction’s completion. Scaffoldings serve as an essential structure during the process of construction as it bridges between spaces and enable workers to work on higher grounds safely. But despite its importance, not a single trace of the scaffoldings can be found in the completed structures. Sometimes scaffoldings are seen with fabric covers over them to block off the construction site from the views of others. The imagery created by the colors and textures of the covers running through the gridded pipes within the cityscape symbolizes a sense of endless variability and possibility.

    Heejoon Lee has recently recognized that his methods of composing visual elements show a close resemblance to the attributes of scaffoldings. Since then, he has applied said resemblance to be an active part of his process and explored its sculptural potential. His latest solo show, Scaffoldings (2023), highlights the artist’s new revelation and development of his practice. Lee photographs sections of mundane sceneries, such as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then crop them tightly to be utilized in his paintings. Although a large portion of the contemporary population spends most of their days inside buildings, not many of them pay attention to the details of the architecture surrounding them. Aged and cracked concrete walls, shattered tiles with missing bits, curved steel railings, plant motif exterior building facades, and the surfaces of landscaping rocks, are some of the fragments of the everyday landscapes that are common enough to be recognized but are often neglected due to their quotidian status. By employing various geometric visual devices in his paintings, Heejoon Lee suggests that we draw our attention to the various architecture and landscapes that construct our everyday lives to propose the possibility of brand-new aesthetic experiences.

    Lee’s photo collage technique has been in use since his Tourist series back in 2020. To begin his photo collage technique: the artist first attaches black and white photographs printed on A4 paper onto a canvas. Then using acrylic paint, he adds lines, geometric colored panels and shapes to veil and unveil different sections of the image to create his paintings. The works exhibited in Scaffoldings are in line with his past exhibitions, Image Architect (2021) and Raw, Polished, Coated (2021), as they all deal with the architecture. But at the same time, his latest series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his older works due to his newfound ways of constructing his paintings. Lee’s older series focuses on creating images that hold and express the emotions and experiences felt within the spaces. And they tend to show organic compositions with different elements of the painting on equal grounding. But his latest works are more focused on the artist experimenting and investigating to form his unique figurative visual language. So he began constructing three-dimensional spaces on the photographs by holding the traits of scaffoldings as their foundations.

    Just like a worker constructing a building on scaffoldings, Heejoon Lee layers individual elements onto the photographs step by step. This amplifies the depth and dimensionality of his paintings. The thin horizontal, vertical, and diagonal lines that run across the canvas resemble chalk lines used in construction sites to mark the reference points when copying down the measurements to the physical structures. The color panels and the shapes placed between the lines support and prop each other up - ultimately, building a three-dimensional space on top of the two-dimensional surface. The artist uses squeegees, which he directly compares to plastering work, to layer paint onto the photographs. This allows the artist to selectively veil and unveil different sections of the images, creating new visual layers to the work. The small dots that are placed freely within the newly created three-dimensional space on the canvas shakes up the strictness formed by the horizontal and vertical elements, which induces liveliness and tension that leads the viewers to experience aesthetical pleasures.

    The concept of ‘scaffoldings’ isn’t just limited to the process of Lee’s artistic creations. It also bleeds into how the works are exhibited. The floor of the exhibition is layered with Tyvek fabric to reference the comparable temporality between scaffoldings and exhibitions, in the sense that they both occupy a space temporarily and get dismantled. Grey styrofoam benches, also made by the artist, are placed in the middle of the exhibition space. The benches, made of light and fragile materials, are another element that is placed to emphasize the temporal nature of exhibitions. These curatorial choices give the viewers a strong sense that they are placed inside this provisional and ever-changing space rather than a solid and rigid white cube at the moment of their entrance. Scaffoldings create a space of discourse that allows the viewers to be open to all possibilities of perspectives to experience and appreciate the artworks in front of them.

    Since the beginning of his career as a painter, Heejoon Lee has continuously explored the concept of ‘space’ as a subject. He has also been slowly experimenting with occupying physical space by creating miniature sculptures by dissecting and reassembling his paintings. The space curation of Scaffoldings (2023) illustrates that Lee doesn’t limit his exploration of space just to his sculptures and paintings. It is a trans-medium process for the artist. The beginning of this movement can be marked by his installation work Blue Scaffoldings (2022), exhibited in Seoul Art Space Geumcheon, South Korea. Blue Scaffoldings is an installation work with photographs and felt fabric - commonly used in construction sites as protective materials- hung up on the wall and with more felt fabric covering the floor space. The artist aimed to construct an experimental space that can be utilized as a stage for performances and artist talks. Heejoon Lee's latest solo show Scaffoldings presents promises of opening up new possibilities for perceiving space by fusing two spaces: a pictorial three-dimensional space that’s created within the painting and a pictorial space that’s extended to the physical space.


Jin Sol Shim

A curator interested in the gaps existing within history while researching contemporary art. Shim uses curation and art as a medium to communicate.

Shim was the curator for the Amorepacific Museum of Art and Van Cleef & Arpels in the past. She now works for the Seoul Museum of Art.


한계를 역설하는 회화
Painting Contradicts Limits





글_심소미
Text by Somi Sim


서울문화재단 제공
Courtesy of Seoul Foundatuon of Art and Culture


    이희준에게 회화의 조건과 한계는 서로 동일선상에서 탐구된다. 2016년부터 도시와 건축에 대한 관심을 추상 언어로 다뤄온 그의 회화에서 화면의 구축과 질료의 관계는 절제된 감각으로 유지돼 왔다. 그러한 작업에서의 변화는 2020년 《The Tourist》를 시작으로, 2021년 개인전 《Image Architect》에서 본격적으로 구현되었다. 기존의 색면추상 회화가 점, 선, 면을 조건으로 한 기하학적 구성으로 추상 언어를 탐구해온 반면, 이때부터 그의 작업은 포토콜라주 방식을 통해 이미지와 회화가 병치된 화면을 구성함으로써 프레임 내부의 형식적 도전으로 추구되어 왔다. 이후 일 년 만에 가진 2022년의 개인전 《Heejoon Lee》는 색면추상 작업, 포토콜라주 작업 및 소형 입체 작업까지 회화의 형식적 실험을 사진, 조각, 공간적 차원으로 확장시켜 보여주었다. 여기서 나아가 그가 2022년 금천예술공장의 오픈스튜디오 기간 중 ‘실험 프로젝트’로 선보인 공간 설치 작업은 건축적 요소와 회화적 프레임의 관계를 펠트천을 이용한 임시적 가변 공간으로 재해석하는 등 질료와 공간에 잠재된 추상 언어의 가능성을 발굴해오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평면, 입체, 공간 등 다양한 차원에 걸쳐 있는 그의 작업은 기본적으로 추상화의 형식적 조건을 기반으로 하여, 오늘날 “추상”적 사고와 실천에 도달하는 경로를 회화의 프레임으로 환원해보고자 한다. 본 글은 그의 조형 실험 중에서도 최근에 본격화된 포토콜라주 회화 <Image Architect> 연작(2021-)을 분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이로부터 재발굴된 추상화의 동시대적 가능성에 다가가 보고자 한다.

    동시대 회화가 캔버스의 프레임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형식적 변주를 꾀하고자 하는 것과 다르게, 이희준은 캔버스의 정형화된 프레임에 스스로 갇히기를 선호해 왔다. 심지어 그가 주로 사용하는 캔버스의 비율은 정방형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조건은 수직 혹은 수평으로 긴 캔버스가 부여하는 화면의 깊이, 원근감, 환영의 유입을 거부하는 평면성의 조건을 파고든 것이다. 주로 260x260cm, 160x160cm, 45.5x45.5cm 등 정방형의 화면은 정사각형에 담긴 절대적이고 직관적인 추상화의 서사와 감각을 연상시키는 기본 틀이다. 이러한 회화의 환원적 프레임에서 그가 이미지를 도입하는 방식은 종이라는 얇은 이차원 면을 배열하여 캔버스에 유동성과 가변성을 부여하는 형식적 실험을 따른다. 아크릴 물감과 흑백 사진이 한 화면을 이루고 있는 그의 작업을 상세히 살펴본다면, 사진이 하나의 이미지가 아닌 분리된 A4 종이로 화면 가득히 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캔버스의 크기에 따라 100장이 넘는 A4 종이가 부착되기도 하는데, 이 흑백 이미지의 반복 정렬된 배열은 이미지의 프레임을 회화의 프레임으로 재구축하는 과정과 관련한다. 캔버스와 종이, 그리고 잉크를 통합시키는 이 과정은 작가의 신체적 개입과 반복된 노동을 통해 질료와 상호작용하는 회화의 또 다른 지지체를 이끌어낸다.

    그 다음으로 화면에서 형성되는 이미지와 회화 사이에서의 관계에 주목해보면, 출력된 사진 이미지는 대게가 작가가 일상 속에서 촬영한 건축물의 흔적을 담는다. 미술 제도를 형성하고 있는 전시 공간의 한 부분과 그 주변부에 남겨진 공간의 특성에 주목하거나, 여행길에서 인상 깊게 본 건축물뿐만 아니라 일상 속 보편적이고 평범한 건축이 갖는 기하학성과 질료의 감각 등 건축물의 형식, 형태, 색, 질감, 구조 등을 다룬 섬세한 시선을 담고 있다. 이때 분할된 면으로 인쇄되어 부착된 흑백 이미지의 총체성은 캔버스 위에서 냉엄하게 파열되고 마는데, 그가 배열에서 의도한 이미지 내부의 미묘한 오차는 형태와 지각의 균일성을 무너뜨리는 요소이다. 이 위로 작가가 스퀴즈를 통해 만들어낸 회화적 자취는 픽셀이 지배한 공간의 환영을 다시 한 번 흐트러뜨리며 불완전과 완전 사이의 긴장감을 화면으로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촉각적 질서를 이끌어낸다. 그 외에도 점, 선, 면에 담긴 추상 언어는 이미지에서 탈구된 시각적 감각과 기억을 새로운 정보 값으로 형성하게 한다. 건축 공간의 구도와 질감, 디지털 이미지의 차가운 성질은 추상화 과정을 통해 회화의 경험으로 전환된다. 이때 경험의 전환은 물질적 차원을 비물질(디지털) 이미지의 차원으로, 이를 다시 회화의 물성으로 경험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완성된 회화는 엄격한 프레임의 조건으로부터 삼차원의 공간을 재감각하는 경험의 통로를 역으로 제시해 보인다. 그렇게 형성된 회화의 자취는 공간이라는 먼 차원의 풍경을 화면에 직관적으로 밀착시킬 뿐만 아니라, 동시대인에게 익숙한 이미지 지각 체계에 질문을 던지는 동기로서 추상 언어의 경로를 제시한다.

    이희준의 최근 회화가 갖는 변화는 포토콜라주를 통한 이미지 경험의 재해석 및 디지털 이미지를 분해하는 회화적 접근 등 유연한 경로를 통해 기존에 회화를 규정하던 프레임에 도전해오고 있다. 그때마다 작가는 자신의 회화를 구축한 지배 질서에 질문하며, 이를 위반하고 역설하는 회화적 실험으로서 이미지, 물성, 공간적 요소를 새로운 질료로 적극 도입해오고 있다. “점점 빠르고 선명하게 발전하는 오늘날의 모습에서 추상은 반대로 적은 정보와 불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한다고 생각한다.”(작가노트 中)라며 작가가 주목한 추상의 조건은 디지털 사회에서 과도해진 이미지의 존재, 범람하는 이미지의 구체성 및 인식 불가능한 이미지 소비의 피드에 맞서 시도된다. 동시대 이미지의 조건을 전유하는 그의 회화적 도전은 추상화의 역사가 형성한 견고한 형식적 조건을 일부분 계승하면서 프레임 내부의 역설을 통해 추상 언어의 경험적 차원을 재구성한다. 이렇듯 그는 회화는 프레임의 조건과 한계를 동시대적 공간의 차원 및 이미지의 차원과 대조하고 분할하고 포개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실시간 이미지 세계의 반대편에서 도모되는 추상화의 가능성과 경험의 장을 열어 놓는다.

    For Heejoon Lee, the conditions and limitations of painting are explored on the same level. In his paintings that have dealt with urban and architectural interests in the abstract language since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screen composition and quality has been maintained in an understated sense. The changes in such work style began with The Tourist in 2020 and were fully rendered in his solo exhibition Image Architect in 2021. On one hand, his former color plane abstract paintings have explored abstract languages with geometric compositions based on points, lines, and planes. Since then, his work has been pursued as a formal challenge within a frame by composing a pictorial plane in which images and paintings are juxtaposed through the photo collage method. The 2022 solo exhibition Heejoon Lee held in the following year expanded the formal experiments of painting to photography, sculpture, and spatial dimensions, including color plane abstractions, photo collages, and small three-dimensional pieces. Furthermore, the spatial installation work he introduced as the O.P.E.N. Project during the open studio of the Seoul Art Space Geumcheon (SASG) in 2022 has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abstract language latent in material and space, reinterpre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al elements and pictorial frames as a temporary variable space using felt cloth. His works, which span over various dimensions like the plane, three-dimension, and space, are basically based on the formal conditions of abstraction and aim to return the path to today's abstract thinking and practices to the frame of paintings. This writing attempts to approach the contemporary possibility of rediscovered abstraction by especially analyzing the recent full-fledged photo collage paintings, Image Architect series (2021-), from his plastic art experiments.


    Unlike how contemporary paintings are seeking to break away from the canvas frame and make various formal variations, Lee has preferred to trap himself in the canvas's standardized frame. Moreover, the canvases that he usually uses are distinctively square and equally proportioned. These qualities delve into the conditions of flatness that deny the inflow of depth, perspective, and the illusion of the pictorial plane given by the vertically or horizontally long canvases. The square pictorial planes, which are usually 260x260cm, 160x160cm, or 45.5x45.5cm, are a basic framework reminiscent of the narrative and sense of absolute and intuitive abstraction contained in a square. The way he introduces images in the reductive frame of painting follows a formal experiment that gives fluidity and variability to the canvas by arranging thin two-dimensional planes called paper. If you take a closer look at his work, where acrylic paints and black-and-white photographs form one pictorial plane, you can see that the photographs are not attached as a single image and that they are actually filled with separate A4 pape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anvas, more than 100 sheets of A4 paper are attached, and this repeatedly aligned arrangement of black-and-white images is related to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frame of the images into the frame of the painting. This process of integrating canvas, paper, and ink leads to another support for painting that interacts with materials through the artist's physical intervention and repeated labor.

    Furthermore, when you take a close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formed on the pictorial plane and the painting, the printed photo images usually contain traces of the architecture photographed by the artist in his daily life. It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left behind around the exhibition space that forms the art system or contains his delicate views on the form, shape, color, texture, and structure of buildings, such as the geometricality and the sensation of materials of common and ordinary architecture from his daily life as well as impressive architectures he came across during his travels. At this time, the totality of the black-and-white images printed section by section and attached is severely ruptured on the canvas, and the subtle error inside the image he intended in the arrangement is an element that breaks down the uniformity of form and perception. The pictorial traces on top of the piece created by the artist using a squeegee once again disrupt the illusion of a pixel-dominated space, evoking tension between imperfections and perfection on the pictorial plane while eliciting sensational order. In addition, the abstract language contained in points, lines, and planes causes the visual sense and memory dislocated from the image to form new information values. The composition and texture of architectural spaces and the cold nature of the digital image are converted into the experience of painting through the process of abstraction. At this time, the transition of experience is the process of experiencing the material dimension as the dimension of non-material (digital) images, then as the property of painting. The painting completed through this process inversely presents a path towards the experience of sensing three-dimensional space again from the strict frame conditions. The traces of the paintings formed in this manner not only intuitively adhere to the distant dimension's landscape of space on the pictorial plane, but also present the path of abstract language as a motivation to ask questions to the image perception system familiar to contemporaries.

    The changes in Lee's recent paintings have been challenging the frame that previously defined painting through flexible channels such as the reinterpretation of image experiences through photo collages and a pictorial approach to decomposing digital images. Each time when he does, he questions the ruling order that established his paintings, and as a pictorial experiment that violates and contradicts them, he has actively introduced images, physical properties, and spatial elements as new materials. In his artist note he said, "I think in today's faster and clearer development, abstractions convey little information and unclear messages on the contrary." The conditions of abstraction noted by the artist are attempted against the presence of excessive images, the specificity of flooding images, and the feed of unrecognizable image consumption in the digital society. His pictorial challenges, which exclusively possess the conditions of contemporary images, reconstruct the empirical dimensions of abstract language through the paradox inside the frame, while inheriting some of the solid formal conditions formed by the history of abstraction. Through such a series of processes of contrasting, dividing, and layering the dimensions of contemporary space and images, his paintings overcome the conditions and limits of the frame and open the door to the possibility and experience of abstraction promot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al-time image world.


균형 잡기의 과정, 그리고 오직 본다는 것
- 가리거나 혹은 드러냄으로부터 구성하는 이희준 회화의 인식 구조

The Process of Balancing, and Only Seeing Left
-  The Recognition Structure of Heejoon LEE’s Painting Consisted of Covering or Exposing






글_장진택
Text by Jintaeg JANG


인천아트플랫폼 제공
Courtesy of Incheon Art Platform


    그 출발은 구상이었다. 하지만 분명 풍경을 그리는 와중에 그의 시선이 그 풍경의 이면을 향해 있지는 않았다. 어쩌면 풍경은 회화의 장르에서 가장 ‘솔직한’ 회화라고도 할 수 있을 테다. 렌즈를 통해 빛과 피사체를 오롯이 현상하는 사진과 같이, 작자가 바라본 자연 또는 인공의 풍경을 화폭 위에 ‘잘’ 옮겨낸 작업이 바로 이 풍경화일 것이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여러 의미로 사용할 수 있는 수식어 ‘잘’을 어떻게 풀이할 것인가의 문제다. 문맥상, 이 뜻은 모호하다. 결국 구상이든 추상이든 그 외연의 표상 외에는 곧 무엇을 ‘본다’라는 행위만이 남겨질 뿐이다. 이 ‘본다’는 행위는 그 실행의 주체인 행위자의 주관을 반영할 수밖에 없다. 이때 바라보아지는 그 ‘대상’에는 ‘보는’ 행위 주체의 내면으로부터 생성된 의식의 여파가 고스란히 미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대상과 주체 사이의 감각적 전유 과정은 대상을, 또한 그것을 둘러싼 각각의 주체들을 특별한 관계로 엮어낸다. 따라서 동일한 풍경을 담고 있는 회화임에도, 그들 간 사실 중요한 화두는 ‘무엇을’이 아니라 ‘누가’일 수 있다. 작업의 범주 안에서 ‘무엇이 누구에 의해 그려지고, 또 보여진다’라는 이 자명한 명제는 그려진 무엇을 두고 창작과 관람의 주체들이 행하는 ‘본다’는 행위, 그리고 이로부터 기동하는 상호작용의 틀이 하나의 미적 기조로서 분명 그 유효함을 방증하는 예시가 되기도 한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이희준의 초창기 작업이라고 할 수 있는 <Yellow Scene> 연작은 바로 이상의 논리와 연관이 있어 뵌다. 이 작업들은 구상의 영역에서 창작의 당사자가 어디엔가 멈추어 둔 시각적 프레임에 뒤따르는 감각체들을 옮긴다. 작가의 시선이 머무는 곳은 대부분 특정한 건축물이나 그러한 건축물들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다면적인 삶의 흔적들로, 흥미로운 건 작가의 시선-프레임이 담거나 잘라버린 이미지가 그저 풍경의 기술적 재현의 단계에 머무르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이희준의 풍경은 그보다 한층 더 풍경의 바깥, 다시 말해 그것을 감상적 차원이 아니라 풍경을 바라보는 시선을 대상적 이미지로서 포착하려는 시도에 가깝게 다가간다. 작가가 대상을 시선의 화각 테두리 안에 배치하는 구조화된 구도는 대상 자체를 그대로 떠내듯 담아내고자 의도하는 풍경화들과 확실히 다른 감각을 불러일으킨다. 다시 말해 이희준은 그가 바라보는 풍경에 그려냄을 목표로 한 기존의 풍경과는 다른, 선택된 이미지의 지위를 부여하고자 하며 그 도출된 결과가 자신이 찾는 이미지 구성에서의 어떤 공식 증명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과정이었음을 굳이 숨기지 않는다. 그 때문인지, 당시의 풍경 작업들은 각각의 장면을 단일한 추상의 톤으로 완결하거나, 그 아래 펼쳐진 구체적 피사의 이미지들을 묘사하는 데 있어 점, 선, 면으로 그려진 상징적인 기본 도형의 형태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 역시 당시 작업에서 나타나는 특징적 면모다. 그의 화면은 구체화한 이미지들의 표상으로 점철할지언정, 실제 이러한 표현을 통해 작가가 추구했던 바는 추상의 영역에서 제기 가능한 여러 논의를 위한 단초로서 그 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있었던 것은 아닐까. 2012년에서 2014년 사이의 <Playground> 연작은 프레이밍을 주요한 도구로 활용하는 이희준의 실험이 좀 더 형식적인 차원에서 실행된 경우라고 할 수 있을 텐데, 이 시기에 작가는 삼각형 형태의 캔버스에 그 외곽의 형태를 마치 창문의 틀과 같이 감내하는 잘린 이미지를 삽입하면서 자신의 구도화 작업을 좀 더 극단적인 형태로 전개했다. 작업은 내용과 형식의 연관성을 단절한다. 이미지 자체의 구성, 그리고 그러한 방법을 통해 드러나는 조각난 이미지를 바라보게 함으로써 작가는 특정한 감각의 소회를 창출한다. 이처럼 내용과 형식이라는 이중적 차원에서 가리고, 잘라내며, 붙이거나, 드러내기와 같은 미술의 원초적인 기술법을 적극 활용하면서 이희준은 새로운 이미지의 구성을 시도한다. 바로 이 시기의 작업에서부터 어쩌면 그의 구상은 이미 회화라는 범주 안에서 병치될 수 없었던 추상성과의 공존을 상상하고 있었을지도 모르겠다.

    2015년부터 이와 같은 작가의 접근 방식에 변화의 조짐이 나타난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의 <Interior nor Exterior: Prototype> 연작과 2016년부터 2017년 사이에 제작된 <The Speakers> 연작, 그리고 2017년의 <Emerald Skin> 연작들은 이후에 등장한 이른바 온전한 추상 단계를 예비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작업들의 순차는 가시적인 형태를 살핀다면 그것을 추상화라고 분류해야 할 만큼 이미지적으로 구상의 흔적이 지워져 있다. 하지만 그는 각 작품의 제목을 통해 이들이 무엇을 원본으로 추상화되었는지를 유추할 수 있게 함으로써, 추상과 구상 사이의 관계를 어떠한 방식으로 정립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을 그때까지는 유예하고 있었던 것도 같다. 이에 본 작업에서 작가가 구사하는 추상은 온전히 그 형상 자체를 자기 수단이나 의미로 가지는 수준으로는 나아가지 않고, 여전히 다른 무엇을 의지하기 위한 형이상학적 표현의 수단으로 기능했다. 작가가 추상의 표현을 그 자체로 완결하면서도, 이후 그 표현의 방식에 적합한 활용 목적을 부여한 때는 2018년에서 2019년에 걸쳐 그가 그린 <A Shape of Taste>나 <Floating Floor> 연작들이 등장한 시기와 맞물린다. 이제 이희준에 작업에서 추상은 완벽하게 구상의 자리를 대신하게 된다. 추상의 형상들을 화면의 전면에 배치하며 작업은 그 각기 다른 형이상학의 상들을 통해 어떠한 구성으로 스스로를 드러낼 것인지에 좀 더 힘쓰는 모양새를 띠었다. 자칫 미술사적 추상이라는 전통적 맥락으로 작품들을 몰아갈 수도 있었던 색면은 도리어 개념이라는 측면을 내려두고 그 장식적 구성의 모색에 집중함으로써, 색면 추상을 이희준 작업 전체의 구성을 이루는 주요한 근거의 지위로 끌어올리는 데 일조한다. 그리고 대략의 시기에 함께 나타난 <Biei>에서는 현실에서의 경험을 다시금 추상에 결합하려는 작가의 시도가 다시 한번 동하면서, 당시의 작품으로 구상(성)과 추상(성) 사이의 균형을 제 표현법으로 정제해내고자 했던 이희준의 작업이 어느 정도 마무리 수순에 접어든다. 2020년에 레스빠스 71에서 열린 그의 개인전 《The Tourist》에서 그는 자신이 경험한 공간을 직접 기록한 사진 이미지를 아예 노골적으로 작품 안에서 노출시키는데, 출력한 촬영 사진 프린트 위에 이전의 작업에서 차용한 추상의 색면을 레이어 삼아 올리는 작업의 형태가 바로 그것이다. 이어진 2021년의 <Image Architect> 연작에는 이희준 작업을 관통하는 핵심의 과정, 즉 가리거나 드러냄의 의지로 도달하고자 하는 적당한 균형과 이를 위한 이미지 세공의 과정이 점차 방법론화하기 시작했다. 《The Tourist》 전에서는 색면을 통해 이미지를 어떠한 방식으로 가릴 것인가에 초점을 두었다면, 본 작업은 전체적인 캔버스의 스케일을 키우고 그 위에 색면의 자유로운 배치와 동선을 확보하기 위한 물리적 공간과 심상적 여유를 마련하고자 힘쓴다. 이를 통해 작가는 배경 사진 이미지의 색채, 해상도, 구도의 설정을 조율하여 구상 이미지의 추상성을 획득하는가 하면, 다른 한편 추상 색면의 매체적 특징을 강하게 드러냄으로써 짙은 대비의 사진과 두꺼운 질감의 색면을 교차케 하며 보통은 서로 다른 차원에서 행해지는 인식들 사이의 일반적 경계를 재편해 나간다. 그리고 비로소 2021년 스페이스 소에서의 《Raw, Polished, Coated》 전에서 구상과 추상 그리고 가리거나 드러냄의 행위를 통해 구축하는 미적 균형감을 좇는 작가의 이미지 실험은 소위 ‘이미지-찾기-이미지’로 명명할 수 있을 그만의 독창적인 표현 양식으로서 완전히 자리를 잡았다.

    이렇듯 이희준은 이미지를 중심으로 하는 회화의, 회화에 의한, 그리고 회화를 위한 자연스러운 연상의 흐름, 그 균형 잡기의 과정을 작업을 구조하는 부분이자 전체로 꾸준하게 정립해왔다. 나아가 그 정립된 구조를 내재하는 독특한 이미지, 그것이 일으키는 상호작용의 정수인 ‘본다는 것’의 의미를 그는 일종의 자기 파열적 테크닉으로 탄생시킨 ‘일련하는 구조로서의 회화 연작’을 통해 규명한다. 그 가운데 그의 회화 실험 혹은 실험 회화는 이전까지 전혀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졌던 이차원과 삼차원 세계 사이의 경계에 의도적인 혼란을 야기하고, 그로부터 회화라는 매체를 장르로서의 회화라는 새로운 체계로 이전시키며, 이로써 작가는 복잡하고 다단한 예술 실천의 조건들을 동시대의 관점에서 점검하는 새로운 미적 인식틀의 가능성을 발견한다.

***
장진택은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큐레이터이자 연구자이다. 영국 왕립예술대학(Royal College of Art)에서 현대미술 큐레이팅(Curating Contemporary Art)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한국의 홍익대학교 예술학과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일민미술관,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인사미술공간 등지의 기관에서 전시를 기획하였고, 기획 전시 플랫폼 INTERACTION SEOUL을 독자적으로 운영키도 했다. 현대자동차가 운영하는 ZER01NE 크리에이터 스튜디오의 팀장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독립 큐레이터로서 동시대성에 기반한 한국의 큐레이팅 실천 및 그 형성 과정에 관심을 두고 전시와 텍스트를 생산하고 있다.



    His work begins with figurative representation. Yet even while painting a landscape, the artist's gaze was not directed at what lay on the other side of the landscape. Landscapes might be the most "honest" kind of painting. Just as photography captures the light and the subject through the lens, a landscape painting is the image of a natural or artificial scenery captured through the eyes of the artist and transferred onto the canvas "well." The question is what is to be meant by the modifier "well," or what is meant by a "good" landscape. The meaning in context is ambiguous. In the end, all that remains apart from the representation of the landscape’s extension is the act of "seeing," whether it’s figurative or abstract. This act of "seeing" necessarily reflects the subjective thoughts of the one who sees, and the "object" that is seen is fully exposed to the influence of the consciousness of the one who "sees." This process between the object and subject of sensory possession links the object to the various subjects that surround it in a special relationship. As such, even when two paintings portray the same landscape, the important question might not be "what" was portrayed but "who" did the portraying. The proposition that "something is painted and shown by somebody," clear and evident within the scope of the work, serves as an example which supports the notion that the artist and viewer’s act of "seeing" what is painted and the mutual dynamics that result from this can serve as a valid aesthetic standard.

    LEE Heejoon's early work from 2010 to 2012, titled Yellow Scene series seems to reflect this logic. These works move the sensations that follow the visual frames which LEE had at some point paused within the domain of conception. Most of the places to which the artist turns his gaze are particular buildings or the various traces of life that surround them.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e images contained or cut-off by the artist's view-frame do not stop at merely being descriptive reproductions of scenery. Rather, LEE’s landscapes go somewhere beyond the landscapes themselves and the mere sentimental appreciation of them. They are more like attempts to capture the gaze upon the landscape as their object and image. The structured composition, in which the objects of his gaze are placed within the angle of view, certainly evokes a different kind of sensation from the other landscapes, which simply try to contain the landscapes as they are. In other words, LEE bestows the status of the selected image to his works in a break from the more typical works that aim to capture the full landscape. Nor does he try to hide the fact that such creation was a part of his search process for the proof of a certain formula of image composition that he wanted. That may be why each of his landscapes around this time was characteristically complete with a single, abstract tone, or emphasize the symbolic basic geometric form consisting of dots, lines and planes in portraying the concrete objects. LEE's works may be filled with symbols of concrete images, but what he truly wanted to accomplish may have been to secure the possibility for various discussions in the domain of abstraction. One could say the Playground series from 2012 to 2014 was a more formal take on LEE's experimentation with the important tool of framing. By inserting cut-off images into a triangular canvas as if its edges were the frames of a window, he created a more radical version of his compositional works. The link between the content and the form are severed, and LEE creates a distinct sensory experience by making the audience see the composition of the image for itself and the fragments created by it. LEE attempts to develop a new kind of image composition, through the full application of the basic techniques of description of art, such as masking, cutting, pasting, and revealing both in terms of content and form. Starting with the works around this time, LEE may already have envisioned the coexistence of his representation with a kind of abstraction that could not be juxtaposed in the scope of painting. 

    Hints of this change in approach emerged as early as 2015. One could say that the Interior nor Exterior: Prototype series (2015-2017), The Speakers (2016-2017), and Emerald Skin (2017) were all part of his preparation leading up to the phase of complete abstraction later. Speaking in terms of their appearance, these works in order have already lost much of their figurative imagery to the extent one could already categorize them as abstract art. However, the artist gave them titles that allowed the viewers to guess the original image the works were making the abstraction on, thus indicating that LEE had not yet made the full transition in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bstract and figurative. These works had not yet reached the level of abstraction where shapes were treated as their own ends, still remaining means of metaphysical expression that relied on something else. LEE only began closing the loop of abstraction and gave such modes of expression their appropriate objective around the time he painted A Shape of Taste and Floating Floor between 2018 and 2019. Abstract finally replaced figurative in LEE’s work completely. Placing abstract shapes on the forefront of the canvas, LEE seemed to make a greater effort to allow the works to present themselves through their composition consisting of different metaphysical shapes. The color planes, which could have been dismissed as traditional abstractions one could already find in art history, set aside the conceptual aspects and instead focused on the exploration of ornamental composition. Thus, they elevate the use of color planes as an important compositional foundation for all of LEE 's works. Around the same time, LEE also attempted once again to combine real experience with abstraction in Biei, reaching some level of closure in his journey to define the balance between figurative with abstraction with their associated means of expression. In The Tourist, his solo exhibition in L'espace in 2020, LEE explicitly placed the printed photographs of the places he experienced within his paintings, overlaying them with abstract color planes from his previous works. This was followed by the series Image Architect in 2021, in which LEE began to systematize the balance he sought to reach between masking and revealing and the method of image processing that could achieve such balance. This had been a central theme running across all of his works. While LEE focused on masking the images with color planes in The Tourist, he focused on giving himself a greater degree of freedom to position color planes and set up for the viewer’s eye movement in Image Architect by expanding the size of his canvas to acquire more physical and psychological room. LEE achieved a greater degree of abstraction in the figurative images by adjusting the color, resolution, and composition of the background photographs. He also readjusted the customary boundaries assigned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cognition by making a prominent display of the abstract color planes, whose thick textures overlapped with the high contrast of the underlying photographs. Then in the SPACE SO exhibition Raw, Polished, Coated in 2021, LEE's experiments with images in search of an aesthetic balance between the figurative and abstract, masking and unveiling finally reached its full form as LEE’s original and distinct expressive style that one may call "image-search-image."

    Thus, LEE steadily established the natural stream of association between the ideas around imagery that are of the painting, by the painting, and for the painting, as both part and the whole of the structure of his works along with the act of balancing such streams. Furthermore, he explains the unique images that contain this established structure and what "seeing" means as the essence of the dynamics created by such imagery, through the "painting series as a series of structure" which he created using a certain kind of self-destructive technique. His painting experimentations or, rather, experimental paintings purposefully created confusion in the boundary between the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worlds that were previously considered incompatible. And by doing so, he transports painting from being a medium to being a genre, and discovers the possibility for a new framework of aesthetic cognition that can provide a contemporary examination of the complex conditions of artistic activities.


***
Jintaeg JANG is a curator and a researcher based in Seoul, Korea. Jang received his M.A. in Curating Contemporary Art from the Royal College of Art and completed a doctoral program in Art Studies from Hongik University. Jang curated numbers of shows working at Ilmin Museum of Art, PLATFORM-L Contemporary Art Center and Insa Art Space, and ran an independent platform for curatorial practice called INTERACTION SEOUL. His position was also a team lead at ZER01NE Creator Studio, a creative division at an open innovation platform operated by Hyundai Motor Company. Currently working as an independent curator, Jang is curating and writing with a research interest in the formation and practices of contemporary curating in South Korea.


건축과 경합하는 회화
Painting That Competes with Architecture






글_정다영
Text by Dah-young Chung
아트선제센터 제공
Courtesy of Art Sonje Center

아트선재센터 건물은 사분원의 몸체를 갖고 있다. 네모반듯한 일반적인 전시 공간과 달리 원을 정확히 네 개로 쪼개고 그중 하나를 취한 모습이다. 한국현대미술의 중심 장소인 삼청동 일대에 1998년 문을 연 아트선재센터는 길모퉁이 대지에서 최대 면적을 확보하는 동시에 건축적 질서를 구현하기 위하여 부채꼴의 방사형을 취한다. 2, 3층 전시장은 벽체가 아니라 공간 안쪽에 놓인 기둥 6개가 지지하는데, 이 기둥들은 사분원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방사로 펼쳐지는 공간의 논리를 강화한다.

건축의 내부 논리가 단단하게 잡힌 이 건물에서 일어나는 전시는 역설적으로 주어진 조건에 잠식당하지 않기 위한 전략적인 공간 설계가 필요하다. 특히 수직 벽체가 부족한 방사형 공간이라 회화와 같은 평면 작품 설치가 불리하다. 작품을 펼칠 수 있는 자리가 잘 보이지 않는 만큼 큐레이터에게 전시장 자체는 연구 과제가 되었을 것이다. 이렇게 주어진 공간 조건에 대응하여 전시 밑그림을 그려나가는 일은 3차원 공간과 2차원 평면의 교차가 빚어내는 감각을 탐색하는 《작아져서 점이 되었다 사라지는》의 주제와도 맞닿아 있다.

이번 전시에서 이희준의 작업은 전시장 곡면 가장자리에 도열한 4개의 기둥 사이에 놓여있다. 전시장 입구이자 출구 쪽 벽면에 소품 2점도 전시되어 있지만 곡면에 설치한 대형 회화 3점이 이번 전시의 대표작이다. 직접 수집한 도시 풍경을 질료 삼아 추상적으로 재구성한 회화 작업을 해오고 있는 작가는 작년에 열린 개인전 《투어리스트》부터 사진 콜라주를 도입해 도시와 건축의 파편들을 드러내고 있다. 이번 전시의 <부유하는 선>, <청동 여자상>, <벨벳 커튼>에도 《투어리스트》 연작의 연장선으로서 사진 콜라주와 회화를 접목하고 있다.

아트선재센터의 전시 공간이 회화가 존립하기에 부담스러웠다는 작가의 말은 전시 공간의 건축적 형식이 작업의 고려 사항이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별도의 가벽이나 다른 장치를 빌리지 않은 채, 캔버스 그 자체로 주어진 공간과 승부하려는 이희준의 전략은 캔버스 ‘크기’와 ‘배치’라는 작품과 공간의 기본 요소에 집중한다. 선명한 색이 덮인 260×260cm의 커다란 정방형 표면은 시각적으로 방사형 공간의 중심을 깨뜨리고 사분원 평면의 가장자리로 관객의 시선을 이동시킨다. 기둥과 기둥 사이 중간 정도의 위치에 작품을 균등하게 설치하자 기둥은 회화를 감상하는 프레임이 된다. 작품을 바라보는 지지체가 된 양쪽 기둥과 작품이 설치된 움푹한 곡면이 만들어 내는 영역은 연극 무대의 정면처럼 보인다. 서양 고전 건축의 벽감을 떠올리게도 하는 작업의 배치다. 전시장 기둥이 만들어 내는 강한 구축 체계를 오히려 회화를 받드는 프레임으로 전치시킴으로써 이희준의 회화 작업은 전시장 공간과 경합하고 대등하게 존립한다. 이처럼 이번 전시에서 건축이라는 레퍼런스는 작업의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를 관통한다. 그간 작가가 지속적으로 탐구해온 건축이라는 대상이 작품을 놓는 전시장의 공간 형식과 교차하면서 작품의 함의는 확장된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가 보여주는 전작과의 차이는 작품에 숨은 건축의 저자(author)이다. 작가는 10년 전 초기작 <옐로우 신>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일상 속 공간의 마감재로 쓰이는 대리석이나 노출된 콘크리트의 표면”과 같은 이른바 건축가 없는 건축, 도시의 버내큘러 풍경에 주목해왔다. 작가가 관찰하고 수집해온 이러한 도시의 입체적 표면들은 결과물만 봤을 때 작업의 출발선이 되거나 제목으로만 남는다. 작업의 단서가 된 건축의 표면은 두터운 붓질과 같은 회화적 요소가 잠식하여 은유적으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반면 사진 콜라주를 작업에 사용하면서 물감의 층이 만드는 기하학적 평면들과 그 아래층에 깔린 건축 이미지는 좀더 직접적으로 대응하기 시작한다. 집장사가 지은 집으로 불리는 이름 없는 건물들이 낮은 해상도의 흑백 이미지로 담길지라도, 이 때 건축은 캔버스 위에 실재한다. 물론 작가는 이러한 건축 요소들을 다시 은근하게 지우면서 건축이 제공하는 맥락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고 있다. 작품 제목에서 발견했던 건축의 단서가 캔버스 위에서 부분적으로 가시화되는 셈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그로부터 더 나아가 건축사적으로 상징적인 건축, 저자가 분명한 건축을 가져온다. 자연스레 그 건축을 만든 저자의 이름, 즉 건축가를 떠올리게 한다. 작품 제목이 지시하는 대상과 작품 내용이 담고 있는 재현의 대상이 선명하게 교차하면서 미묘한 자각을 전달한다.
특히 <바르셀로나 파빌리온>을 담은 <청동 여자상>과 <벨벳 커튼>은 세계적인 마스터아키텍트 미스 반 데어 로에를 불러내어 전과는 다른 차원의 문제들을 촉발한다. 작가가 건축가의 존재를 강하게 의식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건축의 재료나 표면이 아니라 소실점이 있는 설계자의 의도가 드러나는 깊이감 있는 장면을 선택했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희준 작가가 작업에 대한 부제로 <이미지 아키텍트>라고 붙인 점도 이와 조응한다. 건축가의 이름이 작품 제목이나 다른 설명에서 드러난 것은 아니지만, 현대건축의 중요한 조형적·이론적 원리가 된 <바르셀로나 파빌리온>은 무명씨가 만든 건축물 혹은 도시의 일상 풍경과는 다른 입장을 분명하게 취한다. 즉 캔버스 외부의 전시장 공간과 이희준의 작업이 건축과 회화로 긴장하고 있는 것처럼, 작품 내부에도 두 명의 저자인 건축가와 작가가 대응하고 있다. 이 힘들이 작품 내외부를 교차하는 지점도 우리는 목격할 수 있는데, 이는 캔버스 앞에서 어느 정도 거리를 확보하고 작품을 바라볼 때 발견된다. <바르셀로나 파빌리온>의 유명한 청동 조각상을 슬며시 물감으로 지우고 다시 <청동 여자상>이라는 이름을 붙인 작업을 보자. 유명한 바르셀로나의 녹대리석을 상상하게 하는 짙은 녹색 수직면은 전시장 기둥의 폭과 비슷한 너비를 갖는다. 캔버스 안과 바깥의 건축과 회화는 이렇게 공간과 평면을 교차하며 서로를 의식한 채 새로운 리듬을 만든다.

미스 반 데어 로에의 사진을 사용한 두 작품 외에도 작가가 평소 다니는 수영장의 천창 구조를 찍은 사진을 입면처럼 사용한 <부유하는 선>도 《투어리스트》 작업과는 다른 생각의 여지를 준다. <부유하는 선>에서는 건축가의 이름이 드러나는 유명한 건물을 호출한 것은 아니지만, 반복된 철골 부재의 클로즈업을 통해 현대건축의 생산 문법을 연상시킨다는 점에서 그저 풍경으로만 존재하는 과거 이미지와는 다른 태도를 가지고 있다.

또 다른 흥미로운 지점은 바로 이 작품들이 설치되어 있는 아트선재센터가 미스 반 데어 로에의 유일한 한국인 제자였던 건축가 김종성이 설계한 건물이라는 점이다. 또한 미스 반 데어 로에는 포토몽타주 기법을 통해 자신의 건축 작업을 2차원 이미지로 표현하기를 즐겼던 건축가다. 작가는 이 사실을 작품을 설치할 때까지 알거나 의식했던 것은 아니지만, 이 흥미로운 알레고리는 《작아져서 점이 되었다 사라지는》이 만든 전시의 자장 위에서 이희준의 회화를 폭넓게 이해하는데 유효한 지점들을 제공한다.

역사적으로 건축가들은 시공자와 달리 3차원의 건축물을 구현하기 위해 입체를 2차원 평면으로 상상하고 투사하는 일을 한다. 3차원과 2차원을 오가는 훈련이 숙련된 이들의 직능은 다양한 도면을 엄격하게 그려내는 것이었다. 반면 이희준 작가는 건축가들의 그러한 치밀한 설계 방법론과 달리 캔버스 앞에서 즉흥적으로 개입하는데, 이러한 방법론의 차이도 건축과 회화의 교차 지점들을 생각하기에 좋은 탐구 주제일 것이다. 이런 지점들이 그간 이희준 작가가 보여준 익명의 풍경에 기댄 작업보다 저자가 분명한 건축을 대면시켜 만드는 긴장감을 더욱 기대하게 만든다. 건축과 경합하는 회화, 회화와 경합하는 건축. 두 매체가 의심하고 탐색하는 힘이 각자를 밀어내며 전진하게 만든다.



The Art Sonje Center building consists of a quarter-circle structure. In contrast with ordinary exhibition places that are all squares and straight lines, it’s built in a format where a circle has been split into four equal parts. Opened in 1998 in Seoul’s Samcheong neighborhood (also the base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the museum uses this circular section design to achieve a sense of architectural order while maximizing the area of its site, which is located on a corner. The space on the second and third floors are held up not by walls, but by six columns located inside the space. Those columns only reinforce the space’s logic, which radiates outward from inside the quarter-circle.

When exhibitions are held in a building with such strict internal architectural logic, that ironically necessitates strategic spatial design to ensure that they are not encroached upon by the given conditions. With its lack of vertical walls, this radiating structure is especially disadvantageous when it comes to presenting two-dimensional works such as paintings. With no obvious places to hang the artwork, many curators may have had to research the setting itself. That process of outlining the exhibition as a reaction to its spatial environment connected with the theme of Dwindles to a Point and Vanishes, which explores the senses evoked when three-dimensional space meets two-dimensional surfaces.

In this exhibition, the work of artist Heejoon Lee is placed among four columns positioned at the outer edge of the space’s curving surface. Two smaller pieces are also shown on the wall by the space’s entrance/exit, but the centerpieces of the exhibition are the three large paintings displayed on the curving portion. In the past, Lee’s painting work has involved abstract reconstructions of cityscapes that he has personally assembled; since his solo exhibition The Tourist last year, he has also incorporated photography collage as a way of representing fragments of cities and buildings. In this exhibition, the works Floating Lane (2021), Bronze Woman (2021), and Velvet Curtain (2021) are continuations of The Tourist series combining photo collage with painting.

In talking about the incompatibility of the Art Sonje Center exhibition space with works of painting, Lee helps us to see how the architectural shape of a setting was a consideration in his process. His strategy – grappling with his given setting through canvases alone, without relying on temporary walls or other devices – is focused on the basic elements in the artwork/space relationships, namely the size of the canvas and its placement. The large square surfaces, which measure 260x260 cm and are coated in bright colors, visually disrupt the balance of the radiating space, shifting the viewer’s perspective toward the outer edge of the quarter-circle surface. With the artwork presented evenly midway between the columns, those columns become a kind of frame for viewing the paintings. The domain created by the two framing columns and the curving surface where the artwork is hung gives a similar effect to looking at a theatrical stage; the placement of the artwork also recalls the niches in classical Western architecture. As he transforms the rigid construction system of the space’s columns into a frame for supporting his painting, Lee allows his work to compete with its space, coexisting with it on an equal footing. In the way, the exhibition’s architectural references permeate not only the artwork itself but also its external surroundings. The artwork’s implications are broadened as architecture – a subject of ongoing past explorations by the artist – is juxtaposed with the form of exhibition space where the work is situated.

One difference between this exhibition and past work by Lee is the author of the work’s hidden architecture. Since his early work Yellow Scene a decade ago, he has focused on the vernacular landscapes of cities – “architecture without architecture,” such as the “marble used to finish the spaces in daily life, or exposed concrete surfaces.” The three-dimensional urban surfaces that he has observed and assembled remain only in titles or as the starting points for artwork based solely on the results that he viewed. The architectural surfaces that inspired his work are represented allusively as they are encroached upon by thick brushstrokes and other elements of painting. With his adoption of photo collage, we see the beginning of a more direct reaction from the geometric surfaces created by the layers of paint and the architectural image underneath. Anonymous buildings – “houses built by housing salespeople” – are presented in black-and-white and low resolution, yet the architecture here does exist on the canvas. To be sure, the artist does make suitable adjustments to the context provided by the architecture as he subtly erases some of these architectural elements. In effect, the architectural inspiration found in the artwork’s title is partially visualized on the canvas. With this exhibition, Lee goes even further by incorporating structures that are symbolic in architectural history terms – buildings with clear authorship. They naturally call to mind the name of the creator: the architect. The artist conveys a subtle self-consciousness through the clear juxtaposition of the object referred to in the work’s title and the represented object in the actual artwork.

In particular, Lee raises issues of a different order from before by evoking the world-famous architect Mies van der Rohe in his Bronze Woman and Velvet Curtain, which incorporate the Barcelona Pavilion. While the artist claims he was not overly conscious of the architect’s presence, the key thing is that he chose a scene with depth that reveals the designer’s intentions, a scene with a vanishing point as opposed to architectural materials or surfaces. This is echoed in Lee’s addition of the subtitle Image Architect to his work. While the name of the architect is not present in the title or other explanatory materials, the Barcelona Pavilion – which embodied key aesthetic and theoretical principles of modern architecture – obviously holds a different position from a building designed by some anonymous architect, or from ordinary parts of the cityscape. Like the tension that exists between Lee’s painting work and the architectural space beyond the canvas, there is also a reaction within the work between two different creators: the architect and the painter. Here, we see how these forces create an intersection between the artwork and what lies outside it, which we discover then we view the work at some distance from the canvas. Consider the work that Lee titled Bronze Woman, in which he subtly painted over a famous bronze statue of a woman at the Barcelona Pavilion. The deep green vertical plane, which evokes Barcelona’s famed green marble, is similar in width to one of the exhibition space’s columns. Through this juxtaposition and mutual awareness between space and surface, the painting on the canvas and the architecture outside of it create a new kind of rhythm.

In addition to the two works incorporating photographs of Mies van der Rohe, his work Floating Lane has a kind of elevation using a photograph of the skylight structure of the swimming pool the artist frequents. Here, too, Lee invites a different sort of ideas from his The Tourist work. Floating Lane does not invoke the name of a famous structure with an associated architect’s name, but it exemplifies a different attitude from his past images of mere landscapes, in that his close-up views of repeating steel framework call to mind the production grammar of modern architecture.
Another interesting thing is that Art Sonje Center, the building where this work is displayed, was designed by Jongsung Kim, the only Korean who studied under Mies van der Rohe. Mies was also an architect who enjoyed using photomontage techniques to represent his own structures in two dimensions. Lee was not aware of this fact until the artwork was in place, but it’s an interesting allegory that suggests some valid points to consider in gaining a broader understanding of his painting within the context of the Dwindles to a Point and Vanishes exhibition’s magnetic field.

In contrast with builders, architects have historically imagined and projected volume into two-dimensional surfaces in order to create three-dimensional structures. Trained to alternate between two and three mentions, they have developed the skill to render different designs in rigorous ways. Heejoon Lee’s approach differs from that sort of painstaking design by architects: he imposes himself on his canvas in spontaneous ways, a difference in methodology that offers an interesting topic of exploration in considering the ways in which architecture and painting intersect. Aspects like these raise hopes for the kind of tension Lee can create as he presents us with architecture of clear authorship, in contrast with his past work that relied on anonymous landscapes. Painting that competes with architecture, architecture that competes with painting – the power of questioning and exploration within these two media creates a forward progression beyond each of them individually.

그리기  만지기 자국 내기




글_정현
Text by Hyun Jung

1.
다소 먼 발치에서 본 작업의 첫인상은 마치 켜켜이 쌓인 종이 뭉치를 조감하는 기분이 들었다. 찬찬히 살펴보니, 캔버스 화면 위에 종이로 인쇄된 사진을 배접하여 하나의 켜가 형성되고, 그 위에 작가가 직접 만든 스퀴즈를 이용하여 기하학학인 색면의 켜를 덧붙여 얇지만 깊은 하나의 겹이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진은 대부분 여행 중 촬영한 이미지라고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겹 사이에서 온도 차가 느껴졌다. 차가움과 따뜻함, 구체적인 형상과 추상적인 이미지, 직선과 곡선의 차이가 만든 대비 때문이었다. 이처럼 이희준은 사진과 판화적 요소를 사용하여 그리기의 방식을 전유하고 정보와 감각을 혼합한다. 동시대 미술에서 사진 이미지를 작업의 모티브로 사용하는 게 낯선 게 아니지만, 그가 사진을 대하는 방식엔 약간의 차이가 있어 보인다. 무엇보다 작가가 선택한 사진은 시각성보다 촉각성이 두드러진다. 즉 도상이 의미가 아닌 감각적 경험에 무게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섣불리 가정을 해보면, 기계적인 공정과 인간적인 흔적을 포개어 어떤 미학적 균형을 찾아가는 작가의 모습이 떠올려진다. 겨우 한두 겹의 납작한 켜 사이에 기억과 기록, 그림과 회화, 과거와 현재가 꽤 견고하게 공간을 채우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작가는 작업 초기부터 지금까지 세계를 어떻게 회화로 재구성할 수 있는지를 꾸준히 탐구하였다. 경관을 재현하기보다 경관의 일부를 분석적으로 재구성한다거나, 세계의 부피를 편평하게 바꾸어 대상을 형태를 가진 색의 조합으로 단순화한다. 회화 속 세계는 점점 더 수직과 수평의 선들로 이뤄진 구조적 성격이 강해졌다. 이번 전시는 그리기라는 회화의 가장 오랜 관습이 어떻게 촉각과 연결되어 전유를 일으키는지를 작업 공정과 미술사적 시각으로 풀어보고자 한다. 특히 (2020) 전시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판화 제작 공정과 유사한 작업 방식은 시각 중심의 그리기가 아닌 손을 통한 “만짐과 만져짐”이라는 현상학적 미학을 드러내는 가능성으로 제안하고 싶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번 전시 작업 과정을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보자: 1) 제주도에서 찍은 사진을 A4 용지 위에 잉크젯으로 인쇄한다. 2) 사진 이미지는 캔버스 크기와 인쇄 용지의 비율에 따라 분할 인쇄된다. 3) 마치 그림을 그리기 위하여 캔버스를 준비하듯 인쇄물을 화면 위에 꼼꼼히 접착한다. 4) 접착된 사진 이미지에 어울리는 색과 형태를 찾는다. 7) 흔한 골판지로 일회용 스퀴즈를 만들어 기하학적인 형태의 색면을 ‘그린다’(이 스퀴즈는 꽤 견고한 편이라 실제로는 다회용으로 사용된다고 한다). 인쇄된 A4용지를 캔버스에 붙이는 과정은 일정한 크기의 규격품을 벽에 붙이는 미니멀리즘 조각의 공정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3.
1960년대 등장한 미니멀리즘 회화는 오랫동안 미술을 구성해온 이미지와 의미의 관계를 해체하고 그것의 물성과 다양한 감각적 측면을 부각한다. 주관적인 감상이나 심상과 같은 낭만주의적 예술관을 낱낱이 파헤치기 시작하면서 특히 회화에 덧씌워진 초월성의 유혹을 벗겨낸다. 이러한 경향을 가장 잘 보여준 작가로는 로버트 라이먼(Robert Ryman)을 꼽을 수 있다. 그는 자신을 리얼리스트라고 강조하면서 회화를 구성하는 화면과 지지대의 관계를 공간과 자연광으로 확장뿐만 아니라 캔버스를 대신하는 다양한 재료 실험으로도 유명하다. 알루미늄, 강철, 유리섬유, 플렉시 글라스, 비닐, 신문지, 벽지 등 일일이 열거하기도 버거울 정도다. 마스킹 테이프도 그의 회화를 구성하는 주요한 질료가 된다. 라이먼의 대표작 클라시코 5(Classico 5, 1968)는 크림색 클라시코 종이를 가로 4줄, 세로 3줄로 배치한 다음, 마스킹 테이프로 화면의 중심에서 왼편 상단을 아우르는 사각형을 표시한 후 흰색을 칠한 후 테이핑을 걷어낸다. 라이먼은 물질로서의 화면과 회화가 된 공간을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회화가 진행되는 과정을 숨김없이 제시한다. 60년대 미니멀리즘 회화는 이처럼 회화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해체하거나 ‘그린다’라는 고정관념을 한 꺼풀 벗겨내고자 했다. 프랑스의 미니멀리즘 운동이라 부를 수 있는 쉬포르/쉬르파스(support/surface)는 캔버스 천을 벗기고 지지대를 분해한 뒤 공중에 매달아 놓음으로써 회화를 구성하는 보이지 않는 구조물이 어떻게 새로운 예술적 실험의 질료가 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회화를 위한 도구를 창작의 질료로 전환하고 반대로 일상의 사물을 창작의 도구로 사용하기도 했다. 수세미를 이용하여 (발가벗겨진) 캔버스 위에 자국을 내는 도구로 활용한 것과 같은 사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실험은 예술과 일상을 전복하여 새로운 쓸모를 발견하게 만드는데, 궁극적으로는 문명에 의한 회화가 아닌 회화의 원형성에 다가가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저자성에 대한 실험도 자주 일어났다. 낭만주의적 뿌리로 형성된 전지적 예술가의 초상을 다시 지면 위로 불러들인다. 솔 르윗의 드로잉은 모두를 위한 것이었다. 미니멀리즘 미술을 보는 다양한 관점이 있겠지만, 그것은 과연 예술이 무엇이며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질문했다. 예술에 미혹되기보다 오히려 실재가 무엇인지 알아차려야 한다고 집요하게 매달렸다.

4.
사실 회화의 역사는 양식적 차이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쓰였다. 알다시피 역사의 굴레에서 벗어나려는 화가들의 몸부림은 모더니즘을 이끌었지만, 그것만으로 충족할 수는 없었다. 예술은 여전히 완벽한 해방이라는 명제를 향하여 나아가고 있으며, 따라서 예술의 매체를 막론하고 이러한 실험은 여전히 유효하다. 이희준은 미술사의 궤적을 따라 재현의 길목에서 현실을 드러내는 사물의 정체성을 지우는 추상의 골짜기를 통하여 이동하는 중이다. 마치 순풍을 맞으면서 자연스럽게 구상에서 추상으로 나아간 것 같지만 예술가의 고민은 분야, 매체, 장르와 무관하게 세계의 인식을 어떻게 해석하고 보여줄 것인지에 있다. 회화는 한 번도 완성된 적이 없었고 앞으로도 그 어떤 매체보다 더 큰 변화의 가능성을 보여줄 것이다. 예를 들어 아그네스 마틴(Agnes Martin)의 회화는 무언가를 묘사하는 그림과는 달리 시간의 켜와 생각의 흐름의 순전한 기록이지 않았는가. 장식이라곤 찾아볼 수 없는 마틴의 작업실 풍경만큼 그의 붓과 도구들은 지나칠 정도로 일상적인 사물이었다. 이희준도 마찬가지다. 인쇄된 A4용지를 꼼꼼한 손끝으로 배접하는 모습과 일회용 스퀴즈를 물감을 밀어 추상적인 형태를 만드는 행위는 회화적이라기보다 수공적이란 표현이 더 어울린다. 화면을 채우고 있는 흑백의 이미지와 물감의 존재는 회화란 보는 대상에서 만지는 감각으로 나아간다고 주장하는 것 같다. 그의 회화에는 세 겹의 촉각으로 형성된다. 망막에 맺힌 상, 배접의 과정 그리고 스퀴즈로 뭉개어진 물감의 자국으로. 이들은 가역적 관계로 엮여 있다. 따라서 그에게 회화는 기억, 물질, 몸이 섞이는 ‘실존’을 찾아가는 과정의 흔적이라 불러야 할 것이다. 끝으로 이번 전시 <낡고, 연마되고, 입은> (2021)은 이희준이 건너온 약 십 년의 고민과 그 시간만큼의 회화 실험을 명시적으로 보여주는 자리라 불러도 될 것 같다.





평면 위에 전개된 입체 감각
Cubical Sense Unfolding on a Flat Surface

 



글_안소연
Text by Soyeon Ahn
번역_이나정
Translated by Najeong Lee

이희준의 회화는 별 다른 의심 없이 단번에 기하학적인 추상 회화로 파악되지만, 그 색과 형태에 대한 인상은 또 한참만에 특정 사물과 건축과 도시 및 자연 풍경에 가서 닿는다. <Interior nor Exterior>(2015-2016) 연작에서부터 <The Speakers>(2016-2017) 연작과 <Venetian Blind>(2017) 연작을 거쳐 <A Shape of Taste>(2018) 연작과 <Biei>(2019) 연작을 연속적으로 진행해 오면서, 그는 구체적인 대상에 대한 시각적 경험을 추상 회화로 전환하는 일련의 방법에 대해 연구해 왔다. 최근에는, <Floating Floor>(2019) 연작과 <The Tourist>(2020) 연작을 통해 비회화적인 재료를 추가하여 추상 회화에 대한 인식을 갱신하려는 새로운 시도가 엿보이기도 한다. 그러한 정황은 지금까지 몇 개의 단서들로 그 당위를 드러내 왔는데, 이 단서들이 그의 의도에 의해 선택되어 추려진 것은 맞지만 선언적인 논리로 단일하게 엮여 있는 것은 아닌지라, 어디까지나 이 단서들을 한 곳에 그러모아 그의 그림을 추상 회화로 명명하는 일은 이 사건에서 제 3자인 나/우리에게 맡겨진 몫 같다.

  이번 전시 ⟪The Tourist⟫에서는 일전의 <Biei> 연작과 동일한 장소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일정하게 구축된 새로운 회화 연작을 소개한다. 관광지로 잘 알려진 일본 홋카이도의 비에이(Biei) 지역 여행을 통해 얻은 개인적인 시각 경험을, 그는 2015년부터 지속해 왔던 작업 방식에 따라 <Biei> 연작의 추상 회화로 한 차례 풀어냈고, 최근에는 <The Tourist> 연작으로 재료와 방법을 달리한 추상적 표현의 가능성 혹은 추상적 표현에 대한 인식 가능성을 암묵적으로 환기시키는 방향으로 끌고 갔다. 이러한 변화는 지난 해에 회화 작가 3인전으로 꾸려진 ⟪Painting Network⟫(2019)에 참여해 그가 신작으로 소개했던 <Floating Floor> 연작에서의 시도와 어떤 접점을 그려내며 그 흐름을 같이 한다. 그런 의미에서, ⟪The Tourist⟫는 약 5년 간 그가 집중해 왔던 추상 회화에 대한 방법론을 재매개하여 이 원리를 스스로 자가-생산함으로써 자율적 시스템에 대한 확장과 갱신을 도모해 보려는 그의 계획된 의도 아래 추진된 것이 아니었을까 하는 내 숨은 상상을 펼쳐본다.

  <The Tourist> 연작이 포괄하는 단서들은, 연속하는 미래의 시간을 가늠하며 일련의 연작을 시즌 별로 내놓듯 그가 구축해온 짧은 역사를 비선형적으로 참조한 것으로서, 새롭게 배열된 회화 방법의 체계를 재매개하는데 크게 쓰인다. 말하자면, 2015년 이후 일곱 번 째 연작으로 공식 기록 되는 <The Tourist>는 지금까지의 방법적 성과를 일종의 데이터나 툴로 적용해 새로운 성취로 나아가는 면면을 보여준다는 것인데, 적용된 단서들을 찾아내 제 역할을 추적해 보는 것 또한 <The Tourist> 연작의 형식적 체계 안에서 미리 예고된 계획이었을지 모른다. 제목 또한, 여행자로서, 그것이 지시하는 것만큼의 태도와 시선을 즉각 확인시켜 줌으로써, 모호함과 호기심 사이의 긴장을 넘나들며 그의 추상 회화에 대한 감각을 내재화하도록 돕는다.

  이희준은 <Interior nor Exterior> 연작에서 본격적으로 자신의 추상 회화에 대한 원리를 소개한 바 있는데, 마치 세잔(Paul Cézanne, 1839-1906) 이후의 유럽 초기 추상 화가들을 연상시키면서, 그는 대상의 리얼리티로부터 회화의 매체적 물질성과 형태의 순수성을 서로 참조하며 이른바 “리얼리즘적 추상”의 면모를 내세우는 듯 했다. 열 두 점의 <Interior nor Exterior: Prototype>을 일괄적으로 살펴보면, 그는 일련의 건축적 형태를 참조하여 색과 기하학적 형태의 추상으로 즉각 환원되는 프로토타입을 설계했다. 이러한 참조적 태도는 1980년대의 포스트 개념주의적 입장을 기반으로 네오지오(Neo-Geo)로 명명되며 기하학적 추상 회화의 한 흐름을 대변했던 피터 핼리(Peter Halley, 1953-)를 재참조하는 설정으로 보여졌다. 오늘날의 추상 회화의 복귀 일면에서 크게 강조되어 왔던 핼리의 시도는, 세기 말의 관점에서 현대 회화의 추상 언어를 모방하고 전유하는 포스트 모더니즘의 당대적 특징을 반영한 것으로 논의되어 왔다. 이희준은, <Interior nor Exterior>에서 핼리가 전유했던 추상 회화의 언어를 (재)모방하되 기호적 이미지로서의 추상 회화로 향하기 보다는 현대적 시각이 탄생시킨 건축물의 구조를 살피면서 적어도 그것의 색과 형태에 있어서 추상적 원리를 포착하여 조형적이고 미학적인 구조로 환원해 보려는 역사적 맥락에 대한 스스로의 신뢰를 내비쳤다.

  이를테면, 그는 특정 건축물을 참조해 그 구조 자체가 이미 3차원적으로 구축하고 있는 추상성을 회화의 2차원적 평면에 옮겨 전면적인 추상 회화로 “변환”시키는 일에 몰두했음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이때, 그는 지각에 의해 파악되는 추상적 조형성의 당위를 구체화 하기 위해서인지 사진-편집을 통한 이미지화 과정을 선회하여 추상 회화로 나아갔는데, 쉽게 말해, 그는 특별히 건축물의 기하학적 구조를 포착한 사진 이미지를 수집하여 편집을 통해서 각각의 사진이 강조하고 있는 색채와 기하학적 형태를 분석한 후 추상 회화의 조형 언어로 구체화 했다. 화면 위에 색과 면을 분할하면서, 사진에 남겨진 빛에 의한 공간감을 그는 채도 변화에 따른 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와 사선 및 곡선을 활용한 공간적 깊이감으로 극대화 했다. 요컨대, 이희준은 그의 초기 추상 회화 연작에서 건축물을 모티프로 한 기하학적 색면 추상을 시도했는데, 사진에 의해 시각적으로 강조되었던 건축의 3차원적 특성을 실체 없는 추상적 감각으로 추출해내려는 추상 화가의 면면을 나타내 보여줬다.

  추상 회화에 대한 태도와 스스로 구축한 추상 회화의 방법론은 <A Shape of Taste> 연작과 <Biei> 연작을 거치면서 한껏 탄력을 얻어 자신감을 드러내며 그 지평을 더욱 넓혔다고 보는데, 짐작하건대, 그가 수집된 사진 이미지에서 발견한 추상적 시각 정보의 한계를 넘어서서 사진이 매개하는 3차원의 실제 대상과 2차원의 추상 회화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재)설정해야 할지에 대한 물음에 스스로 봉착하여 만족할만한 답을 찾고자 모색했던 회화적 시도들 때문이었다고 생각한다. 이희준은 두 개의 회화 연작을 진행하면서, 직접적인 경험의 대상을 추상 회화의 언어로 변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살피며 사진에 의한 이미지 편집을 매개로 회화 매체의 물성과 조형적 원리로 시지각적 경험을 추상적 감각으로 전환하는, 혹은 그 역으로, (보편의) 추상적 감각에서 (특수한) 시지각적 경험을 다수 환기시킬 수 있는 추상 회화의 (형이상학적 독창성이 아닌) 참조성/관계성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더 나아갔다. 도심의 오래된 한 주택가를 특정해 주변 환경의 변화로 쓸모가 바뀌면서 그 형태를 개조하여 변형시킨 주택의 구조를 사진 찍어 그것을 (사물 고유의) 색과 (사물의 질감을 닮은) 물감의 물성과 (사물의 구조에 기반한) 기하학적 형태 등 추상적 조형 요소로 환원시킨 게 <A Shape of Taste>(2018) 연작이며, 비에이(Biei) 지역 관광을 통해 직관적으로 경험했던 자연과 도시 풍경에 대한 인상을 임의의 시차를 겪은 후에 남겨진 여행 사진에서 재인식하여 그 시지각 경험에 대한 감각을 적당한 크기로 심사숙고 하여 설계된 캔버스 화면 위에 추상화 시킨 작업이 <Biei>(2019) 연작이다.

  흥미롭게도 <A Shape of Taste> 연작과 <Biei> 연작에서 두드러진 시각적 효과는 (그가 의식했는지 몰라도) 캔버스 외곽에 대한 강조였고 더불어 그렇게 선명하게 경계 지어진 회화의 틀 안에서 깊이를 헤아릴 수 없이 원대한 공간감을 그려내고 있는 추상적 요소들의 배열과 그것의 시각적 착시였다. 그는 사진-편집에 의해 선택되어진 이미지의 추상적 자기 완결성을 다루는데 있어 이미 충분히 훈련해 왔던 터라, 이 둘의 연작에서 이미지의 완결성은 캔버스의 평면적인 형태(shape)를 강조하는 고전적 수법으로서 그리드의 참조적 출현에 힘입어 추상 회화로 온전히 변환되는 하나의 알리바이로서의 제 쓰임을 다하게 된다. 다시 말해, 실제 대상에 대한 사진적 편집에 의해 연루된 추상 회화의 그리드 출현은 (역사 안에서 손쉽게) 제 당위를 얻게 되었다는 것이다. 여기서 내가 더 강조하고 싶은 것은 이 그리드가 추상 회화의 평면성을 보장해 줌과 동시에 역설적으로 그 평면과의 거리감 혹은 그 평면이 함의하는 공간감을 지탱해 준다는 점인데, 이희준의 최근 작업에서는 그러한 역설이 각기 다른 색면의 (물감) 두께로 인해 실제의 효과와 가상의 착시를 오가면서 감각에 크고 작은 교란을 일으킨다. 한 예로, <Biei no.106>(2019)을 보면, 설산(雪山)의 이미지로부터 기하학적 조형성을 추출해낸 추상 회화로서 수직·수평의 기학학적 선들이 회화의 평평한 그리드를 구축하면서 동시에 예각을 띤 또 다른 선들이 연쇄적인 중첩 효과를 일으켜 그 대상 간의 공간감 뿐 아니라 그 대상과 나/우리 사이의 상당한 거리감을 한껏 과시하고 있음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더구나 그러한 시각 경험은 먼 데 있는 추상적 풍경 이미지를 크게 확대해 앞으로 당겼을 때처럼, 화면 앞으로 바짝 다가가 한 곳을 응시할 때 물감 층의 두께가 먼 거리에서의 시각적 예측을 벗어나 서로 간의 입체감을 달리함으로써 이 추상적 구조에 대한 인식이 시지각의 끝없는 (오)작동과 갱신을 불러오게 된다.

  끝으로, <The Tourist> 연작이 포괄하는 단서들을 설명하기 위해 <Floating Floor> 연작을 놓쳐서는 안될 것 같다. 이희준은 건축 재료인 테라조(terrazzo) 타일을 직접 가져와서 회화 재료와 매끄럽게 결합시켜 그 특유의 기하학적 추상 회화 연작을 제작한 후 그 신작에 “Floating Floor(유영하는 바닥)”라는 제목을 달았다. 그의 새로운 시도에서 내가 눈 여겨 봤던 것은, 그 문화적 보편성으로 확대되어 버린 테라조라는 인조석이 회화의 물성을 이루는 재료이자 추상적 조형 원리를 산출해낼 수 있는 일종의 데이터화 된 도구적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이희준은 기성품으로 생산된 테라조를 여러 종류별로 구입해 그것을 단지 회화의 물질적 지지체로 사용할 것을 결정한 뒤 각각의 테라조에 함유된 여러 암석 입자들의 특징적 색과 형태 등에 대한 (임의의) 추상적 재해석을 거쳐 정사각형 크기의 추상 회화로의 확장을 도모했다. 기존의 작업에서는 대상(사물)과 이미지(사진)와 추상 회화의 구분이 긴밀한 인과 관계 안에서 명확히 구분되어 있었다면, <Floating Floor>에서는 일련의 과정이 완성된 추상 회화 안에서(만) 작동됨으로써 추상 회화를 이루는 개별적인 조형 요소로 환원된다. 결과는 또 기존의 작업들과 맞닿는 부분도 상당히 많은데, 특히 공간감과 거리감의 측면에서, 그는 테라조의 물성을 참조해 이 추상 회화의 현실적인 시점과 무게와 밀도감 등이 근본적으로 그의 추상 회화 전반에 걸쳐 나타났던 헤아릴 수 없는 가상적이면서 인공적인 깊이감을 여전히 가늠케 하고 있다. 건축이나 사물의 구조 안에 잠재되어 있던 추상성을 이미지로 치환하여 추상 회화의 가능성을 모색했던 그가, 실제로 건축적 재료로 생산된 사물을 가져와 그것을 재료로 직접 사용함으로써 그것을 참조한 추상 회화의 체계를 직접 생산해 보려 한 것 아니겠는가.

  자, 이제 긴 이야기 끝에 <The Tourist> 연작으로 돌아왔다. <The Tourist>의 화면 구성은 기존의 작업들과 분명한 차이를 드러내면서 신작의 이질감을 크게 드러내는데, 이 낯선 화면이 불러일으키는 호기심은 이희준의 추상 회화가 여러 연작들을 거치면서 공고히 해왔던 추상 회화의 방법론을 스스로 갱신하며 자가 생산성을 시도해 보려는 태도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점은 <Floating Floor> 연작과의 연속성을 갖는데, 테라조라는 건축 재료가 지닌 (보편적) 추상성을 참조하여 추상 회화로의 변환을 시도하기 위해 그는 그 회화의 대상을 직접 회화의 재료로 사용해 매체 특정성에 대한 모방을 도모했던 것처럼, <The Tourist> 연작에서는 여행을 통해 얻은 사진 이미지에서 추상 회화의 조형 언어를 추출하기 위해 단지 이미지 참조에만 머무르지 않고 그것을 물질적 지지체로 가져와 그 매체에 깃든 조형적 감각을 화면 위에 구축하는 방식을 따른 것이다.

  예를 들어, <A Welcome Orchid>(2020)나 <Nikko Hotel>(2019) 등 구체적인 작업을 가만히 들여다 보면 화면을 구축하는 작업의 과정은 간단하고 명료하다. 그는 여행지에서 직접 찍은 사진을 저장해 두었다가 이번 작업을 앞두고 작업실에서 사용하는 프린터기를 이용해 A4 인쇄 용지에 흑백으로 인쇄한 후 밑 칠 하듯 그것을 캔버스 화면 전체에 밀착시켜 이어 붙였다. <A Shape of Taste> 연작과 <Biei> 연작에서 두드러졌던 대상에 대한 사진 이미지로의 1:1 추상적 전환은, <The Tourist> 연작에 와서 보다 지각적 경험에 대한 재인식의 차원과 그것의 주관적 낙차를 환기시키기 위해 참조되었다. 즉, 앞서서는 3차원의 추상적 구조를 2차원의 추상 회화로 변환시키기 위해 사진 이미지의 매개가 상당한 객관적 당위를 보장해 주었다면, 이번 작업에서는 사진 이미지로 추출된 객관성 보다는 현실에 대한 시지각적 경험과 사진 이미지 간의 낙차를 추상 회화로 매개하려는 반전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이 모든 정황들을 추려, <The Tourist> 연작에 대한 우리의 추상적 인식은 어떤 당위를 갖게 될까? 나는 두 가지로 압축해 보려 하는데, 하나는 시점의 문제이고, 또 하나는 색에 대한 감각의 문제이다. 이미 <Interior nor Exterior> 연작에서부터 <A Shape of Taste>을 거치면서 한껏 두드러진 화면의 특성은, 안에서부터 바깥으로 점진적인 중첩을 과시하며 역설적인 평면성과 공간감을 드러냈었는데, 그 특성이 <The Tourist> 연작에서도 반복되긴 하나 어떤 구체적인 작용을 하면서 묘한 기시감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마치 매끈한 액정 너머로 펼쳐진 디스플레이 화면 같기도 하고, 그런 탓에, 평면의 간극 없는 압축된 공간감과 저 너머의 한계 없는 부감 시점을 아무렇지 않게 오갈 수 있는 우리의 갱신된 시지각에 대한 역량을 <The Tourist>가 보여준다. 또한, 기하학적 형태들로 변환된 회화의 대상이라는 것이, 이번 그림에서는 흑백 사진이 갖는 데이터 정보와 거의 일치함을 유지함으로써 그 근거로 작동하며, 따라서 사진은 여기서 <Floating Floor>에서의 테라조와 거의 비슷한 (추상적 매개의) 역할을 감수하는 셈이다. 결국, 흑백 사진이 보여주는 이미지로서의 형태는 실제 현실에서 그 대상이 지닌 색을 추상적인 색채 도구에서 찾아내려는 작가의 기억과 의지를 촉구하며, 또 그 결과로 만들어진 기하학적 형태와 색의 효과는 흑백 사진에서 소거된 혹은 열화된 정보를 다시 불러와 복원시키는 프로그래밍을 연상시킨다.
 

이희준은 흐릿한 해상도로 출력된 흑백의 여행 사진을 캔버스 크기만큼 이어 붙여 그 위에 물감과 기하학적 형태를 이용해 열화된 사진이 환기시키는 시지각의 경험을 구체화 하려 애썼다. 말하자면, 사진 이미지를 통해 기억을 복구하고 그 기억 속에서 여행지에 대한 주관적 경험을 추상 회화의 언어를 통해 구체화 하려 한 것이다. 따라서, 기존에는 현실의 대상과 추상의 회화 간의 낙차를 사진 이미지가 매개하여 당위를 놓아주었다면 이번에는 현실의 대상과 사진 이미지 간의 낙차를 추상 회화가 매개하여 시지각적 경험에 대한 인식의 범위를 환기시킨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면서도, 그가 사진-편집을 통해 추상 회화의 색과 형태를 체계적으로 산출해낼 수 있었던 것처럼 그는 이번 <The Tourist> 연작에서도 사진의 낮은 해상도와 유사한 알고리즘적 색채를 구현해낸다는 점에서 또 그의 방법론은 새로운 당위를 얻어 스스로 확장해 나간다. 결과적으로 낮은 해상도의 흑백 사진과 그 형과 색에 의한 알고리즘적 색채의 중첩이 만들어 내는 물리적 혹은 비물리적 공간감과 거리감은, 이 새로운 연작에서도 추상성에 대한 인식의 틀을 유연하게 개방시켜 준다.



Heejoon Lee’s works are undoubtedly received as geometric abstract paintings, but after a while, the impression of colors and forms reaches to the specific object, architecture, and urban or natural scenery. Throughout the series of paintings, Interior nor Exterior (2015-2016), The Speakers (2016-2017), Venetian Blind (2017), A Shape of Taste (2018), and Biei (2019), he has been researching a methodology to revert the visual experience of specific objects into abstract paintings. In the recent series Floating Floor (2019) and The Tourist (2020), he has been making an attempt to renew the perception of abstract painting by adding materials that are not commonly associated with the medium. Those practices were alluding to their justification with several pieces of evidence, which are deliberately and selectively chosen by the artist, but have yet to be unified through declarative reasoning. After all, it shall be the obligation of you or me, the viewer experiencing the piece, to gather the evidence and designate his works as abstract paintings.

This exhibition, The Tourist, presents a series of paintings based on Lee’s spatial experience of location, which he also dealt with in his previous series, Biei. Sustaining the same practice since 2015, he converted his visual experience at Biei in Hokkaido, Japan, a well-known tourist spot, into a series of abstract paintings, Biei. In his recent series titled The Tourist,Lee implicitly draws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abstract expression and the possibility of recognition of the abstract expression with different means and mediums. This transition can be traced back to the series Floating Floor at the group exhibition Painting Network in 2019 which featured the works of three artists. Under these circumstances, I unfold my imagination and surmise that perhaps The Tourist was carried out with an intention to re-mediate the methodology he has built over the last five years, produce this principle on his own, and finally expand and renew the autonomous system.

As embraced in The Tourist, the evidence refers to the short history of his oeuvre, which was built over a period of time as if estimating the cumulative time of the future in a non-linear way and then used to re-mediate a new sequence of painting system. In other words, The Tourist, now officially announced as his 7th series since 2015, aims to present a journey to a new achievement with the data and tools based on the fruit of his methodology up to this period. And perhaps, the duty to pick up the pieces of evidence and to detect their roles through the formal system of The Tourist may be already predetermined as a part of his plan. Furthermore, by instantly verifying what is implied in the attitude and the perception of The Tourist, the title of the exhibition encourages the audience to internalize the sense of abstract expression by crossing the borders between ambiguity and curiosity.

Heejoon Lee began to delve deeper into his principle of abstract painting in the series Interior nor Exterior. This reminded me of early European abstract painters after Paul Cézanne (1839-1906), but he seemed to insist on so-called, “Realist Abstraction” by referr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materiality of the medium and the pure form of painting. Let us take a look at the 12 paintings from Interior nor Exterior: Prototype series collectively. He built a prototype that immediately reverted architectural form into the abstract by referring to its color and geometric shapes. This referential attitude can be called Neo-Geo, a movement based in Post-Conceptualism in the 1980s, and be seen as a setup to re-refer to Peter Halley (1953-), a central figure in geometric abstract paintings. Halley’s attempt, which greatly reinvigorated today’s resurgence of abstract painting, has been received as a reflec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which imitated and appropriated the abstract language of modern painting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nd of the century. Here in Interior nor Exterior, Heejoon Lee (re)imitated Halley’s unique language of abstract painting. Yet, rather than reaching toward a symbolic image, he went a step with further in his trust of the historical context, captured the principle of abstraction from the color and shape from modern architecture, and then converted them into a formative and aesthetical structure.

For instance, we can assume that he has been focusing on the practice of “transition” from a three-dimensional abstraction embodied in a certain building structure into a two-dimensional abstract painting on a flat plane. Here, perhaps to exemplify his justification of abstract formation received by visual perception, he employed the photo-editing process to draw images and to at last reach abstract painting. To put it in a simpler way, he specifically collected the photo images of geometrical structures in architecture, analyzed each color and geometrical shape to determine what was accentuated in each photograph via the editing process, and then finally reified them into the formative language of abstract painting. Then, dividing the color and the plane, he dramatically maximized the space created by the light in the photograph to the sense of spatial depth with gradation effect and the usage of lines and curves. In summation, his practice can be summarized into geometric color-field abstraction, the motivation for which he received from architecture from his early abstract painting series, and we can find his character as an abstract painter from the way he extracted an immaterial sense of abstraction from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in the photographs.

His attitude toward abstract painting and self-constructed methodology started to gain momentum and confidence over the series A Shape of Taste and Biei and expanded their field. I assume that this was fostered by his encounter with the self-raised questions of how to (re)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a real object in the three-dimensions, which was mediated by a collection of photographs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abstract visual information, and the abstract paintings in two-dimensions and his numerous experiments in painting to find an answer. While working on those two series, Lee explored the possibility of converting an object from first-hand experience into the language of abstract painting. He then takes a further step to boost the reference/relationship of abstract painting (not metaphysical originality) to interchange the experience of visual perception with the materiality of the painting medium and the formative principle into an abstract sense, or vice versa, from (universal) abstract sense to a (particular) experience of visual perception. In the series A Shape of Taste (2018), he designated an old residential area in a city and took photographs of the buildings, which were remodeled due to changes in the area, and converted them into abstract geometric elements by (its unique) color, property of paint (similar to the texture of the object), geometric shape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object), etc. In Biei (2019), he retrieved the impression on the nature and the city he received while traveling there by looking at photographs after the passage of time. He then carefully abstracted the sense of visual perception onto the canvas.

Interestingly, (whether he was aware of this or not) the distinct visual effect drawn from A Shape of Taste and Biei was the stress on the outer edge of the canvas, along with the arrangement of abstract elements, which created infinite depth of space within the crystal-clear frame of the canvas followed by an optical illusion. Considering that he was already well trained in deducing the abstract integration of images chosen by photo-editing, the completeness of images from both series could be considered as a classical technique that emphasizes the flat shape of the canvas, which later fulfilled its duty as an alibi for the complete transition to abstract painting with referential emergence of the grid. In other words, the emergence of the grid in abstract paintings involved with photographic editing of actual objects (easily) earned its justification (in history). What I would like to stress here is that the grid guaranteed the flatness of the abstract painting and, at the same time, paradoxically supported the implication of the spatial sense or the sense of distance from it. Those paradoxes and the different thicknesses of color (paint) created small and large confusions, alternating between virtual illusion and actual effect in Lee's recent works. For example, Biei no. 106 (2019) is an abstract painting that extracted geometrical shapes from a snow-covered mounta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build a flat grid on the canvas and, at the same time, other geometric lines forming acute angles create a series of overlapping effects, showing off not only the spatiality between the objects, but also quite an extreme distance between the objects and the viewer. Moreover, as if zooming in on the distant abstract scenery and pulling it toward the front, the thickness of paint escapes visual prediction when gazing at a point and creates different volumes. This kind of visual experience steps right in front of the screen and arouses endless (mal)function of visual perception and its renewal.

Last but not least, we should not forget that the series Floating Floor helps explain the clues embraced in The Tourist. Lee brought Terrazzo tiles, a construction material, in person, and seamlessly combined them with painting materials to create a unique style of geometrical abstract painting, which he later named Floating Floor. What I focused on in his new attempt was that the terrazzo tiles, an artificial stone which can found throughout the world, were given a role not only as a material to comprise the painting's materiality, but also as a data tool to compute abstract geometric principles. For instance, Lee purchased several types of ready-made terrazzo tiles, decided to use them merely as supporters for the painting's material and then extended this idea to a square-shaped abstract painting through (arbitrary) reinterpretation of each tile via its unique particles, color, and shape depending on the amount of terrazzo content. If the division among objects(things), images(photographs) and abstract paintings were clearly made with a cause-and-effect relationship in his pre-existing works, in Floating Floor the division is activated (only) within the completed work, thus reverting the process into individual geometric elements. The result has quite a number of common denominators with his existing works, especially in the aspect of space and distance, in that he is still allowing us to estimate the immeasurable artificial and virtual depth, which is fundamentally rendered in his works, with the tools of perspective, weight, density, etc. from the painting itself by referr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errazzo. Perhaps we can say Lee, who was seeking the possibility of abstract painting by displacing the innate abstraction of the structure of architecture or objects into images, is trying to produce his own abstract world through the application of actual construction materials directly into this painting.

Now, after a long detour, we're back to The Tourist series. The composition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his other series and this curiosity arising from a sense of unfamiliarity encourages him to focus on the attitude required to renew his persistent methodology throughout the series and to attempt to create its own production. This provides continuity from Floating Floor. Just like how he was trying to imitate the characteristics of a medium by directly applying materials into the painting with a reference to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terrazzo, The Tourist series takes similar stance by utilizing photo images from trip as materialistic support and constructing geometric sense derived from the medium on the canvas instead of than using them merely as a reference.

For example, if you look at particular pieces such as A Welcome Orchid (2020) or Nikko Hotel(2019), you may realize that the composition process is quite simple and clear. He saves the photographs he took during the trip, prints them on A4 paper in black white, and then attaches them across the canvas as if he is doing an underpainting. Then the one to one transition from the photo image to abstraction, which was conspicuously remarked in the series of A Shape of Taste and Biei, is referred to in order to stimulate a new understanding of visual perception and the subjective gap. In other words, if the mediation by photo-image assured the objective justification to transform abstract structure in three-dimensions into abstract painting in two-dimensions in his previous works, then the current series works in reverse; they mediate the gap between the experience on visual perception in reality and the photo image to the abstract painting rather than focusing on objectivity extracted from the photo-image.

Then considering all these circumstances, how will our abstract perception on The Tourist be justified? There can be two points: one is the matter of perception and the other is the matter of sense of color. Already well noted in Interior nor Exterior to A Shape of Taste, the conspicuous characteristics of the screen have been revealing the paradoxical sense of flatness and space, gradually intrud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at characteristic is repeated in The Tourist, but it plays a specific role in engendering a strange sense of déjà vu. Almost like a screen that displays images through sleek liquid crystal, The Tourist proves our capability of updated visual perception, which allows us repeatedly traverse between the firmly compressed sense of space and the unlimited perspective beyond the event horizon. Moreover, the object of the painting, which is transferred into geometrical shapes, operates as evidence by sustaining homogeneity with the data from the black and white photos. Thus, photographs here play almost the same role (as an abstract medium) as terrazzo in Floating Floor. After all, the black and white photograph images as a form remind me of a program that urges the artist’s memories onward to find the color of the object from the abstracted color tool, then the geometric shape and the color effect created as a result, which would bring back and restore the information that has been omitted or deteriorated in the black and white photographs.

Heejoon Lee tried to reify the experience of visual perception, evoked by degraded photographs, by applying paint and geometric forms on top of black and white photographs printed at low resolution and assembled into the size and shape of the canvas. In other words, it is an attempt to restore memories through photo images and realize the subjective experience encountered at the travel destination through the language of abstract painting. Therefor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object and the abstract painting has been playing a role as a mediator up until now, then this time that role is play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object and the photo images to aid viewers in comprehending the scope of perception of the visual experience. At the same time, just as he was able to deliver the color and the form of abstract painting systematically through photo-editing, in The Tourist, his methodology not only gains new justification but also expands itself by realizing the colors in a similar algorithm as low-resolution photos. As a result, this new series flexibly opens up cognition in abstraction through the low resolution black and white photographs and both physical and non-physical sense of space and distance derived from the overlapping layers of the algorithmic color and form.


Counter-Tourist,이희준
세계의 표정을 읽어내는 노동, 내용을 지워나가는 예술

Laboring to read the world’s face, Art to erase the content



글_조주리
Text by Juri Jo
번역_이나정
Translated by Najeong Lee


불과 몇 주전, 이희준 작가로부터 새 전시를 준비한다는 연락을 받았다. 지난 해 역삼동에서 열렸던 전시 <Painting Network>에 출품했던 ‘테라조’ 타일 회화 작업을 인상깊게 본 기억이 있지만,[1]어떤 점을 재미있게 보았는지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할 겨를 없이 바쁜 계절이 지나가고 있었다. 다만 회화의 자리를 이탈하지 않으면서도, 작품의 근거를 실재하는 삶의 정경과 편재하는 질료들로부터 이끌어 내고자 하는 분투의 과정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메커니즘적으로 ‘포착’과 ‘저장’, ‘전환’은 시차를 두는 일인데, 어쩌면 태생적으로 동시적 발동이 가능한 이들, 혹은 그러한 방향으로 훈련 받아온 이들이 세계를 추상하고 다른 감각으로 번안하는 일이 조금 더 자연스러운 것 아닐까 하는 생각과 함께.
이희준이 알려 온 전시의 제목, The Tourist가 드러내는 간결한 정서와 명료하게 기술된 작업의 프로세스, 이미 진행 중인 작업의 이미지 모음은 소박한 의견을 글로 옮겨 써 볼 용기를 실어준다. 트립, 트래블, 저니... 조금씩 어감이 다른 유의어들 가운데 투어리스트가 풍기는 함의는 여행과 관광 사이 어디엔가 걸쳐져 있는 깊이-없음, 일시적 탈주, 낭만화된 장소성, 상품화된 체험에 가까운 것들이다. 세계를 이해하기엔 지나치게 짧고, 낯선 곳의 표정을 읽어 내기엔 풍족한 날들이다. 지금 시대의 걸맞은 속도와 감성이라고 하면 너무 안이한 생각일까. 그럼에도, 기획된 탈주의 경험과 부박한 탐사의 파편들이 회화의 속도와 밀도로 옮겨올 것임을, 그런 점을 더욱 기대하게 된다. 다행이다. 바라는 것이 그랜드 투어나 오디세이였다면 글쓰기는 시작될 수 없었을 것이다.
한편, 이국의 풍경과 개인의 기억에 깃든 시심이나 낭만적 정서에 동조하는 일은 몰입은 쉽지만 금세 질리는 일이 되고 만다. 창작의 과정이 봉인된 블랙 박스를 열려고 낑낑대는 일은 보람 있지만, 그만큼 피로가 쌓이는 일이다. 그런 점에서 자신의 내밀한 경험으로부터 촉발된 (편의상) ‘여행- 회화’에 대한 이희준의 실행 계획은 그 자체로 설득력이 있고 직관적이다. 여러 쌍의 대립적 요소들로 이루어진 이미지가 주는 힘과 질서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그의 회화 안에 다양하고 풍부한 단서들이 깔려있다. 전시에서 소개되는 시리즈들은 실물 사진과 추상적 붓질이 화면에서 시공간의 켜를 쌓고, 평면 안에서 분할적 구도를 만들어 낸다. 부러 거친 질감의 필터를 씌운 것 같은 회색 조의 사진 이미지들은 그 자체가 회화의 지지대를 이루면서 원경으로 흐릿하게 물러 난다. 거대한 추상 회화 아래로 드러난 파편적 이미지만이 여행의 장소성에 대한 미약한 단서들을 제공한다. 흰 빛이 섞인 파스텔 톤의 민트, 핑크, 크림 색은 실제로는 해당 지역의 풍광을 그대로 반영한 색이기보다는 그 순간에 저장해 놓은 특유의 대기와 광선의 질감, 그 때 그곳의 정취, 대수롭지 않은 경험들과 연합된 주관적 색채 값에 가까울 것이다.  
여행의 실체적 기록을 사변적 기억의 틀로 재가공한 화면들은 그것을 바라보게 되는 나에게도 몇 가지 질문들과 문제화의 가능성을 던져 준다. 실은, 이국의 정취를 작업의 소재로 옮겨 오거나, 여행을 방법론 삼아 기록되고 창작된 텍스트와 이미지를 적잖이 읽고, 보아온 편이다. 도처에 그러한 것들이 많기 때문이다. 지난 세기 동안 탁월한 여행-예술과 미적 성취를 입증한 사례들, 이동의 궤적 그 자체가 일생의 실천인 이들도 몇몇 떠오른다. 이런 흐름 위에서 작업의 좌표를 가늠하면, The Tourist 에 소개된 작업들은 일시적 여행의 경험이 이후의 작업을 촉발시켰다는 점에서 보기에 따라 그것의 추상화된 결과물과 무관하게 전통적인 여행-예술적 산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일상을 벗어난 여행객의 낯선 시선에 포착되는 도시의 색채, 주거와 건축의 차이를 증폭시키는 자잘한 디테일과 인공적 파편들, 지리와 식생같은 비 선택적 조건들은 매력적인 소재를 제공한다. 미술사의 범주 안에서, 통속적인 이미지 생산 공정 상에서, 오늘날의 디지털 플랫폼 위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세계의 표정을 관찰하는 노동의 영역이다. [2]

동시에 이희준이 구사하는 회화적 편집술은 대단히 동시대적인 증상이며, 개인의 특수한 대응 양상이기도 하다. 여행이라는 외재적 장치를 걷어 낸다면, 근본적으로 작가의 최근 작업을 전개해 큰 줄기는 이미지 생산과 소비 방식에 대한 메타적 질문을 생성하고, 회화 작업의 방법론을 재점검하는 행위에 있다. 그려야 할 것을 선택하고 필요가 없는 것들을 배제하는 선택은 개인의 탐구와 궁리로부터 비롯될 것이다. 그렇기에, 여행은 한 개인의 시각적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수정하는 데 있어 우연성을 강화하고, 익숙함을 걷어내는 데 있어 유효한 전략이다. 그러나 얼핏 여행-예술인 양 보이는 열 다섯 점의 회화들은 장소에의 애착이나 존재의 흔적을 남기기 위해 애쓰지 않는다. 애초에 여행의 기억을 회화적 재료로 사용함에 있어 예고된 불완전함이다. 적극적으로 지워내고, 덧입히고, 번안하고, 재배치하는 행위는 온전히 작가의 몫이다.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던 감각들이 다른 시공간에서 출력되는 과정을 통해 이미지의 불투명함과 비역사성은 더욱 도드라진다. 아마도 이희준은 여행의 시점에서는 투어리스트였지만, 회화를 제작하는 시점에서는 카운터-투어리스트가 되었을 것이다.
두텁고, 거대하고, 물질감이 가득한 그의 회화들은 재현적 서사나 특수한 감상이 올라갔을 어떤 면적들을 밀어내고, 깊이를 눌러버리고, 도상을 물감으로 덮어버린 자리로 보인다. 나는 내용을 지워내는 일로부터 오늘날의 이미지 메이커들이 마주하고 있는, 그리고 앞으로 맡아야 할 복잡한 카운터-롤을 폭넓게 상상해 보게 된다.
여행이란 근본적으로 주어진 시간과 공간, 그리고 피지배 상태로부터의 탈출이다. 또한 누군가의 삶을 지시했던 규칙으로부터의 탈출을 포함하는 일이기도 하다. 아마도 이희준의 의도적 “벗어남”은 한 동안 이어질 것이고, 언젠가는 홈 커밍이 전제된 오디세이가 될 것임을 알고 있다. 떠나간 곳에서도 온전한 일상을 살아내고, 머물면서도 마음으로 떠나가는 자의 태도를 새로 만든 단어, “카운터-투어리스트”에 담아 보낸다.
세계의 표정을 읽는 노동도, 내용을 지워내는 예술도 서로 맞닿은 채 계속 이어졌으면 좋겠다.
[1] <Painting Network>(2019. 11.20-12.24), 신한갤러리 역삼, 최정윤 기획, 참여작가: 신현정, 이희준, 전현선
당시 전시에서 이희준은 베트남, 일본 등지를 여행하며 발견한 ‘테라조’ 타일에서 착안하여 제작한 작업 <유영하는 바닥>을 설치, 발표했다. ‘도끼다시’라고도 부르는 테라조 타일이 가진 재료적 특성을 살려 일부분은 테라조 타일을 노출하고, 어느 부분은 가려지도록 했다. (설명 참조: 페인팅 전시도록)
[2] ‘여행은 세계의 내용과 표정을 관찰하는 노동’이라는 말은 소설가 김훈의 산문집 중 ‘남태평양’이라는 글의 첫 문장이다. 스튜디오에서 이희준과 나누었던 대화는 그의 글을 떠올리게 했다.
“나에게 여행은 세계의 내용과 표정을 관찰하는 노동이다. 계절에 실려서 순환하는 풍경들,
노동과 휴식을 반복하면서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들, 지나가는 것들의 지나가는 꼴들, 느낌과 질감을 내 마음속에 저장하는 것이 내 여행의 목적이다.” -김훈 산문집 <라면을 끓이며>, 2015, 문학동네



Only a couple of weeks ago, Heejoon Lee had contacted me that he was preparing a new upcoming exhibition. His paintings at the group exhibition,Painting Network, held at Yeoksam-dong were quite remarkable[1], but the time flew by so fast that it was gone before I even had time to reflect on what really intrigued me. However, I thought of his strenuous effort to derive the basis of woks from life sceneries and omnipresent materials within the boundary of painting. In this mechanism, each step of ‘detecting’, ‘preserving’, and ‘transferring’ requires some processing time; but perhaps for those who are gifted or trained to be able to flip the switch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of abstracting the world and adapting it through another sense could be more natural.

When Lee informed me of the title of the exhibition, The Tourist, I received a concise sentiment, a simply articulated process of the work. A collection of the images of the works in process gave me the courage to write down my humble opinions. Trip, Travel, Journey… The connotation of Tourist to these synonyms with minute differences implies no-depth, lingering somewhere between travel and sightseeing, momentary escape, a romanticized sense of place, and a commodified experience. Those days are too shot to comprehend the world, but long enough to suss out the atmosphere of unfamiliarity. Would it be too naive to say this speed and sense are only suitable in this period of time? Yet, nevertheless, I look forward to his experience in deliberate escape and the particles of shallow exploration being transcended as they are transformed into the painting’s velocity and density. Yet I am relieved. I wouldn’t be able to start writing if it was for Grand Tour or Odyssey.

Meanwhile when it comes to a poetic or romantic sentiment aroused from foreign sceneries and personal memories, we easily become immersed into them, but at the same time, quickly become disinterested. Similar to the burden of one who unseals the black box through their best effort, the process of creation may be worthwhile, but also triggers fatigue. In that sense, his plan for ‘Travel-Painting’ (for the sake of convenience), which is provoked from inner experience, sounds persuasive and intuitive. The reasons for this can be found in the power and the system of images produced in numerous pairs of contradictory elements.

In fact, diverse and ample evidence is widely scattered throughout his paintings. In his new series of works, the actual photographs and abstract paint strokes are layered in time and space, dividing the composition in a flat plane. As if overlaid with a roughly textured filter, the gray scaled photographs become buttresses for the painting and eventually fade away in a distant view. Only fragmented images under enormous amounts of abstract painting can provide tenuous clues to the sense of place. Mixed with a hint of white light, the pastel tone colors, such as mint, pink, and cream, shall be closer to the subjective color values instantaneously captured with the peculiar air, the texture of light rays, the atmosphere, and ordinary experience than an accurate depiction of color.

Reproducing the record of the trip through contextual memories, the plane also raises several questions and opens the possibility for discussion. In fact, I have encountered numerous texts and images with a similar theme, capturing the exotic moods or trips as a methodology; it is quite common. I can also think of some cases which demonstrated outstanding travel-art and aesthetical accomplishments. Even the trajectory of movement itself becomes the practice of life for some artists. In this context, it is fair to say the works presented in The Tourist can be considered as the outcome of traditional trip-art, regardless of its abstracted nature, because the works were triggered by the instant experience of traveling.

Being away from mundane life, the tourist captures unfamiliar colors of the city, subtle details and artificial debris that amplify the distinction between residence and architecture, and metamorphoses non-selective conditions, such as geography and vegetation, into attractive subjects. This is all happening in the category of art history, in the conventional process of image production, and in today’s digital platform. It is the boundary of labor to read the facial expressions of the world.[2]

At the same time, Heejoon Lee’s painterly editorial engineering is a symptom of the contemporary while managing to remain his particular individual response to this aspect. If we remove the external apparatus of travel, the artist fundamentally questions the production and the metaphysical consumption of images and double-checks the methodology of painting practice. The choice of what to include and exclude will be based on each individual’s study and consideration. Therefore, travel is a valid tactic to enforce contingency and step away from familiarity. Yet, from the exhibition, the 15 paintings, almost seemingly like travel-art, do not strive to leave their traces or attachment to the places. This was an anticipated imperfection from the beginning because the materials of the works are driven from the memories of the trip. The practice of removing, adding, altering, and relocating are completely up to the artist. When instantly stored senses are extracted in a different time and space, the opacity of images and non-historicity stands out in further contrast. Perhaps Lee was a tourist when traveling, but he becomes a counter-tourist in the paradigm of painting production.

Heavily applied, enormous yet full of texture, the paintings seem to at last push away a specific surface that grounds a certain appreciation or representational narration and covers up such icons with paint. I imagine the complicated counter-role that todays’ image-makers face and will have to take on in the future in a more expansive way.

In a fundamental sense, travel is an escape not only from a given time, space, and the subjugated class, but also from the regulations that control people’s lives. Perhaps Lee’s intentional ‘escape’ may continue for a while, and will someday end up being an Odyssey under the premise of homecoming. I am imbuing the attitude of those who live daily life in a new place and stay there, yet leave in their hearts, to a new term, Counter-Tourist.

I hope the labor to read the facial expressions of the world and the art to erase the content can continue within the common boundary.

[1] Painting Network (11.20-12.24, 2019) held at Sinhan Gallery Yeoksam, curated by Jeongyoon Choi, Participating artists: Fay Shine, Heejoon Lee and Hyunsun Jeon.

In this exhibition, Heejoon Lee presented Floating Floor (2019), which encompasses terrazzo tiles he encountered while traveling Vietnam, Japan, etc. He integrated terrazzo tiles, also called do-ggi-da-shi’ into the works, with some parts revealing their unique properties on the surface, and some parts beneath paint. (Referring to the exhibition catalog)

[2]‘Travel is a labor to read the content and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world,’ is the first sentence of Kim Hoon’s essay, South Pacific. The conversation I had with Heejoon Lee at his studio reminded me of this phrase.

“To me, travel is a labor to read the content and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world. The purpose of my travels is to see the circulating scenes carried by seasons, people living their lives in the repetition of labor and rest and the transient state of things that pass by, and storing feelings and textures in my mind.” – Kim Hoon’s essay, South Pacific, 2015, Munhakdongne


한계를절개하는 우로보로스의 산책자들
The Strollers (Flâneurs) that Break through the Bounds on the Ouroboros



글_남웅
Text by Nam Woong
번역_조윤성
Translated by Yoonsung Cho

출처
학고재 모티프 전
The text is oriented from a group show <Motif> at Hakgojae gallery


질문은 간단하다. ‘왜 예술을 하는가.’ 완전한 답이 불가능한 질문은 무게도 책임도 갖지 않는다. 아니, 질문은 불가능한 답을 예비한 가운데 많은 맥락과 정동을 예비한다. 누구라도 위의 질문이 향할 것이고, 정답을 얘기하지 못할지언정 최소한 육하원칙의 항목을 동반한 설명들이 구구절절 이어질 것이다. ‘왜’가 아닌 어떻게, 언제와 무엇이 붙은 질문은 정답을 우회한 보다 많은 모티프를 열어둔다. 정답이 부재한 자리엔 셀 수 없는 설명들이 넘친다. 범위를 좁히고 세목을 정해 이야기한다면 서술 가능한 의미들이 타래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가령 질문에 당연시된 예술은 어떤 사조와 세계관에 여과된 개념인가. 예술의 모티프를 묻는 대상이 청년작가를 향하는 데에는 어떤 배경이 있는가. 청년의 당사자성뿐 아니라 시기적 불안정과 가능성 따위의 세속적 의미를 염두에 둔다면 청년은 예술에 어떻게 접목되는가. 그 모습은 어떠한가. 청년작가의 호명이 아직 유효하다면, 이들은 어째서 아직도 청년으로 호명되고 있는가.

모티프는 통시적이고 개별적인 동시에 공시적이고 보편적이다. 시대를 관통하는 작업의 동기는 근원적이고 추상적일 테지만, 동시대 작가들로 한정하면 작업의 관점, 사회 맥락과 사건, 이론, 개인사 등 낮은 포복으로 편재해 있던 질문들이 덤벼들 것이다. 모티프는 보다 근본적인 질문에 실마리를 던지거나, 근본적인 질문으로부터 동시대 예술을 이야기할 수 있는 폭을 확장한다.

중략

2. 불온한 산책으로서 예술

의식적으로 역설을 실천하는 작업은 항과 반대 항을 끊임없이 순환하고 배회한다. 이는 많은 참여 작가들이 언급했던 ‘산책’의 키워드와 연결된다. 산책은 한편으로 작업의 궤적을 밟아나가는 작가들의 경로를 가리키지만 표지 없는 배회가 되기도 한다. 산책은 시행착오와 성과를, 참여관찰과 거리두기를 포함한다. 동시대를 거슬러 밟아나가는 시도는 민족지적 기록이 될 수 있다. 규율의 구속으로부터 다소 간 거리를 둔 배회는 주류에 쉽게 드러나지 않는 하위문화와 사각지대에 눈을 돌린다. 변화를 요구하는 행렬을 따르지만, 끈질기게 불화의 리듬을 찾는 이들은 프로파간다 한복판에서마저 그 연안을 맴돈다. 자리를 찾기 위한 시도는 동시에 자리를 찾지 못하거나 찾기를 포기한 상황을 필사적으로 읽고 감각적으로 옮기는 시도로 변주한다. 그 모습은 불완전성을 드러내되, 온전한 의미부여를 거부하고 불완전을 잔여로 남기며 감각적 여운과 첨예한 담론의 틈을 낸다.

이희준은 산책을 문자 그대로 모티프 삼는다. 그는 건축물과 내부 인테리어로부터 도시 풍경의 디테일로 소재를 옮긴다. 사물로부터 시각형식을 변별하는 작업은 수직과 수평, 패턴으로 구성되는 사물의 흔적 속에 사물을 생략한다. 아니, 사물은 물화된 패턴의 공적을 추적하는 과정에 사후 확인된다.

이번에 선보이는 <어 쉐이프 오브 테이스트(A Shape of Taste)>(2018)에서 작가는 홍대, 연남동, 한남동 등 근래 환경개선사업과 도시재개발을 통해 급격히 변화를 겪은 지역을 돌아다니며 메가시티 서울에서 변모하는 주택가의 스킨과 색상을 참조한다. 그가 포착하는 풍경은 전체적 경관보다 도시 건축의 단면들이 집적되고 압축된 표면의 이미지다. 채집한 풍경들을 5*5cm 화면에 드로잉 하는 초기 공정에는 대상 선정과 이미지 수집, 줌업과 커팅, 색채 가공이 포함된다. 이를 53*53cm 화면에 편집하여 옮긴 뒤, 각 프레임들을 격자 모양으로 배치하고, 배치된 이미지들을 다시 182*182cm 대형 화면에 재편집한다. 풍경의 패턴을 찾아 배열하고, 대형 화면으로 반복 구성하는 단계에는 반복적 페인팅을 나란히 배치하는 수평성과 더불어, 공간을 거듭 접어나가면서 유닛을 확대하는 계층적 수직성이 교차한다. 포착한 경관을 정방형 하드엣지로 가공하고, 이를 수열적으로 나열하는 동시에 한 화면에 접합하는 작업은 실제 도시를 사진이미지로, 일러스트로, 회화로 재가공함으로써 도시와 건물의 지표성을 재지표화하는 것이기도 하다.

일련의 과정은 구체성을 생략하지만, 소거된 풍경이 사이즈를 달리하며 전시장의 경관을 구성함에 따라 그의 작업은 일종의 유사-풍경을 제안한다. 도시의 인공적 속성을 가공하는 작업은 인공의 실재 장소성을 지우는 동시에 인공성을 재창안하는 시도이기도 하다. 이른바 번역된 장소성은 실제 장소와 상이한 화면 위의 패턴이고, 작가를 통해 편집되고 여과된 감각적 표현의 평면이다. 화면은 기호를 삭제한 흔적의 집적물에 가깝다. 여기에 화면을 둘러싼 프레임은 집적된 화면을 견고하게 감싸고 엮고 지탱함으로써 도시의 질서를 전유한다. 규칙이 반영된 작업에 주체의 정동은 숨겨지거나 생략되어 보인다. 무심한 산책자로서 작가는 변해가는 거리의 패턴과 색상을 관찰하고 채집하는 기록자이자, 목적과 기능을 생략하면서도 도시 리듬에 몸을 동화시켜 패턴을 접합하는 편집자의 면모를 보여준다. 그는 도시의 기호를 파괴하고, 추상화하며 다시금 도시 풍경에 이접시킨다. 주목할 점은 일련의 공정에 연상할 수 있는 디지털 가공과 시뮬레이팅을 일절 거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프로그래밍에 이입한 손작업은, 반복적인 작업 단계 속에 생략된 장소성과 대기의 온도를 색과 패턴에, 붓 자국을 통해 음미하도록 한다. 작업은 동시에 휴대에 용이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경유하여 인스타그램과 같은 전시형 SNS의 격자 프레임으로 배열된다. 일련의 장치들은 그가 개입하는 주관성마저도 매체환경에 철저히 이입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여기서 작가가 봉착한 주체성의 모순을 대면한다. 한편으로 작가가 전유하는 도시풍경은 외지인의 시선을 끌기 위한 기호들의 조합으로 채집된다. 하지만 그 결과물 역시 실내 인테리어로 소비될 수 있는 가능성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있지 않아 보인다. 젠트리피케이션이 진행된 장소를 산책하며 맥락을 생략한 작업은, 맥락이 콘텐츠로 납작해지며 하나의 경관으로 소비되는 도시풍경의 변이과정을 작업으로 변주하고 화이트큐브로 수렴시킨다는 해석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속물적 전시가치로 도배된 도시와 작업을 속물적으로 읽고 소비하는 태도 사이에 놓인 주체성은 텅 비어 있지 않은가. 하지만 위의 물음에는 의식화된 감각적 형상으로서 작업이 배제되어 있다. 외부 풍경을 기호화하고 실내에 스케일 있는 화면으로 재구축하는 과정은, 내부와 외부의 구분을 교란하는 공간과 평면 사이 사유가 작동하기에 가능하다. 그렇다면 산책과 채집, 가공과 편집을 주관하는 프로그래밍화된 예술가의 몸을, 그로부터 아직 독해되지 않은 감각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 ‘예술가는 내용 없는 인간이다. 그는 표현의 무(無) 위로 끝없이 떠오르는 것 외에 또 다른 정체성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스스로의 한계라는 이해할 수 없는 환경 외에 또 다른 일관성도 가지고 있지 않다.’[2] 라는 이론적 설명은 결국 실패와 체념을, 견유(犬儒)와 냉소를 취할 수밖에 없음을 함의하지만, 동시에 내용 없음 속에서 아직 시야에 잡히지 않은 대상들을 투영한다.

작업 속에 작가의 동선과 감각을 읽는 것이 과제라면, 이는 중첩과 반복 위에 역설을 품고 있는 작가의 내적 갈등과 협상의 과정을 살피는 시도로 설명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내용 없음’이 강제당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부정된 타자로서 불온한 얼굴을 드러내는 시도는 예술가가 스스로를 비우며 공허한 감각을 펼쳐놓기 이전에, 정체성이 함의하거나 생략하고 있는 사회적 맥락의 독해를 요청한다. 여기에는 동시대적 감수성을 형성하는 사건의 코드들이 신경망처럼 연결되어 있다. 앞서 언급된 작가들 역시 전시적 기호의 집적체로서 도시를 산책하고, 그 속에서 드러나지 않는 것들에 시선을 던지거나 불평등에 저항하는 집단적 행동들을 본다. 행동에 참여하거나 또는 참여하지 않은 채 거리를 활보하는 예술가는, 풍경 속에서 풍경을 기술하며 풍경의 흐름과 구조를 살피고 풍경 너머를 향하는 손끝의 감각을 실천한다.

예술은 스스로를 거스르고 전유하고 파괴함으로써 존속하지만, 여기서 사회적 맥락은 분리되지 않는다. 예술은 강제당한 침묵에 대한 신호로 나타나거나, 시각을 포함한 감각의 형식을 규정하는 이상이나 체제로부터 뚫린 구멍, 부재를 드러내는 행위로 수행된다. 때로 그것은 기억을 위한 기록으로, 온전히 의미부여할 수 없는 징후적 기록으로 드러난다. 관습과 내성을 거슬러 텍스처를 새로 내는 작업은 기존의 방식과 다른 재현의 대상과 형식을 시각화한다. 이는 동시에 의식구조와 몸의 의미까지 재편한다. 숨겨진 목소리를 가져오고 낯선 관점으로 세상을 보는 시도는 비스듬하고 어정쩡하게 살아 있는 이들의 말하기와 보기로서, 건강하고 진지하게 살아 있는 이들의 말하기나 보기와 다르다.[3] 이는 예술이 애도와 정치, 재현의 윤리에 연결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후략

[2] 조르조 아감벤, 『내용 없는 인간』, 윤병연 옮김, 자음과 모음, 2017. p.124.
[3]  양효실, 『불구의 삶, 사랑의 말-어른이 되고 싶지 않은 이들을 위하여』, 현실문화, 2017. p.13.



The question is simple. ‘Why make Art?’ The question that is impossible to have a complete answer to has neither weight nor obligations. Rather, the question prepares to deal with numerous contexts and affects (情動), while expecting an impossible response. Anyone would be asked the question above, and even if a correct answer cannot be claimed, at least explanations supported by who, what, where, when, why, and how will be belabored. Questions that have how, when, and what rather than ‘why’ open more motifs that bypass the correct answer. Countless explanations overfill the place of the answer’s absence. Perhaps describable meanings may be able to form connecting links if we narrow down the range and discuss through specific subjects. For example, in which trends and worldviews does the general idea of art, as from the question above, filter through? On what grounds does the target asking the motif of art head towards young artists? With secular meanings, such as the relevance of the young generation as well as their periodic instability and potential in mind, how would the young generation integrate into art? What would it look like? If the title, ‘young artist’ is still valid, why are they still called ‘young’?

  A motif is diachronic and independent, and at the same time, synchronic and universal. Although the motive for artworks that transpierces the times is primitive and abstract, when restricted to contemporary artists, questions such as the perspective of artworks, social context and events, theory, personal affairs that were crawling ubiquitously, will start to tackle. Motif either throws a clue to the more fundamental question or expands the breadth of discussing contemporary art from the fundamental question.

syncopation

2. Art as Rebellious Strolling

  The artworks that implement the paradox consciously endlessly circulate and wander from one end to the other. This relates to the keyword, ‘strolling,’ which many participating artists in this exhibition have mentioned. Strolling indicates the route taken by artists who follow the trace of their works, but on the other hand, it may as well as be a directionless wandering. Strolling connotes trial and error,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keeping distance. The attempt to proceed forward against the contemporary times may be an ethnographic record. The act of wandering that keeps distance from discipline and confinement to a degree diverts its doer’s attention to the subcultures and blind spots that are not easily spotted in the mainstream. While following the passage that requires change, the artists who persistently seek the rhythm of discord lingers the coast even in the midst of propaganda. The attempt to seek their place transforms into desperate comprehension and the attempt to sensuously convey the situation in which they are unable to find their place or have given up searching. This state reveals incompleteness, and at the same time, denies complete ascription of meaning, leaves the incompleteness as residue, and makes room for sensuous lingering impressions and acute discourse.

Heejoon Lee uses the word ‘strolling’ as it is, as his motif. He shifts his subjects from architecture and their interiors, to the details of cityscapes. His works that distinguish visual forms from objects eliminates the object itself within the vertical, horizontal, and patterned vestige of the object. No, the object is verified after the process of tracing the outcome of materialized patterns.

In the series, A Shape of Taste (2018), presented in this exhibition, Lee wanders around areas that experienced rapid change due to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urban renewal such as Hongik University district, Yeonnam-dong, Hannam-dong, etc. and refers to the skin and color of the transforming suburban area in the megacity, Seoul. The scenery that Lee captures is the surface image of accumulated and compressed layers of city architecture, rather than an overall landscape. The early process for his works in which he sketches the collected sceneries onto 5x5cm picture-screens encompasses selecting the subject and collecting images, zooming in and cutting, and fabricating colors. He then edits and transfers these sketches onto 53x53cm picture-screens, arranges the individual frames into a grid, then re-edits the arranged images on a large 182x182cm picture-screen. In the phases where the pattern of the scenery is obtained and arranged, and recomposing it onto a large-scale picture screen, the horizontality of arranging the repetitive paintings side by side and hierarchical verticality that expands its units as it repeatedly folds space intersects with each other. The process of fabricating the captured sceneries into square Hard-edge painting styles, and sequencing and uniting the images into one picture-screen is also re-indexing the index of the city and architecture through reprocessing the city into photographs, illustrations, and paintings.

The series of processes omits details, but the erased scenery constitutes the scenery of the exhibition space by different sizes, and Lee’s works suggest a kind of analogous-scenery. The process of fabricating the artificial properties of the city is erasing the actual spatiality of the artificial, and at the same time, an attempt to reinvent the artificiality. The so-called translated spatiality is the pattern on the picture-screen, different from the actual space, and the flat plane of sensuous expression edited and filtered through the artist. The picture-screen is like an accumulation of the vestige of eliminated symbols. The frame that encloses the picture-screen browses the order of the city by substantially enveloping, compiling, and sustaining the accumulated picture-screens. The ‘affect’ of the principal subject seems to be concealed or omitted in the works in which rules are applied. The artist, as a dilettante stroller (flâneur), is a recorder who observes and collects the patterns and colors of the transforming streets, and shows aspects of an editor who connects patterns by engulfing his body in the rhythm of the city while omitting purpose and function. Lee demolishes and abstracts the symbols of the city, and reappoints them into the cityscape. The fact that the artist never undergoes through any digital processing or simulating in his processes should be noticed. The hand-work that reflects programming enables the viewers to savor the omitted spatiality and the temperature of the atmosphere in the repeated processes through brushstrokes of the colors and patterns. Lee’s works are sequenced in a grid layout of display type social media like Instagram, via sufficiently mobile digital photography devices. The devices used in his works demonstrate that even the subjectivity, intervened by Lee, is thoroughly penetrated by the medium used.

Here, we face the contradiction of the subjectivity that Lee encounters. The scenes from the cityscape where the artist browses are accumulated as the combination of symbols that are meant to attract the foreigner’s eyes. However, the outcome is not far from the possibility of being utilized as an interior. The works that stroll around places of gentrification and omits context are restrained to the interpretation that they transform the modification of the cityscape that flattens into content to be utilized as a scenery, and assemble into a white cube. Isn’t the subjectivity placed between the city flooding with materialistic display values and the attitude of philistine comprehension and consumption of the works empty? However, the works as ritualized intuitive images are excluded in the question above. The process of symbolizing the scenery from the outside and reconstructing it indoors into a large-scale picture-screen is only possible because thought operates between the space and planes that throws the division of the inside and outside into confusion. If so, how would the programed body of the artist that conducts strolling and accumulating, fabricating and editing, and the impressions that are yet to be comprehended from the bodies? The theoretical explanation deeming that, “the artist is the man without content, who has no other identity than a perpetual emerging out of the nothingness of expression and no other ground than this incomprehensible station on this side of himself”[1]implies that artists have no choice but to eventually take in failure, compliance, skepticism, and cynicism. However, it also projects the subjects that are yet to be caught by the eye, within the absence of content.

If seeking and understanding the artist’s flow of movement and intuition is the goal, it may be explained as the attempt to seek to negotiate with the artist’s inner conflicts that embrace the paradox on top of overlapping and repetition. On one hand, we may consider the case of ‘absence of context’ being enforced. The attempt to reveal the rebellious face as rejected outsiders requires the comprehension of social context that identity implies or omits before the artists let go of themselves and lay out the hollow impressions. Here, the codes of events that form the contemporary sentiments interconnect like the nerve net. The artists mentioned above also stroll around the city as an accumulation of symbols of display qualities, and pay attention to the unexposed things within the city, or collective resistance against inequality. The artists who roam the streets, either participating or not participating, depict the scenery within the scenery, examines the flow and structure of it and implements the sense of their fingertips heading beyond the scenery.

Art subsists by defying, browsing, and destroying itself; but the social context does not separate here. Art appears as a signal for the enforced silence or implemented as exposing the hole penetrated by the ideal or system regulating the form of senses including sight, or the absence of it. Sometimes they appear as records for memory, or portent records that may not be completely granted meaning. Defying customs and conventions, and creating new textures visualize the material and form of reproduction different from existing methods. At the same time, they also adjust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and even the significance of the body. The endeavor to bring the hidden voices and look at the world through an unusual perspective is the obliquely and obscurely living speaking and seeing; it is different from the healthy and earnestly living’s speaking or seeing.[2]This is the point where art meets grief, politics, and the morality of reproduction.

compassion


[1] Giorgio Agamben, The Man Without Content, trans. Georgia Albert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9), p. 55. [2] Hyosil Yang, Disabled Life, Word of Love – For Those Who Do Not Want To Grow Up, (Seoul: Hyunsil Books, 2017), p. 13.


회화의 막 
An Outer Layer of Painting

글_김시습
Text by Si seup Kim
번역_이나정
Translated by Najung Lee
11. 2017

회화 작가인 이희준은 근래 6~7년 정도의 본격적인 활동기간 동안 건축물, 실내 인테리어, 스피커 등 도시 내 다양한 인공물을 주로 자기 그림의 소재로 삼아왔다. 그런데 이 기간 동안 그가 실질적으로 관심을 갖고 회화를 통한 실험으로써 연구를 해온 대상은 따로 있는 것 같다. 나는 표면이나 막(膜) 등의 열쇳말이 이희준의 회화를 근본적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희준이 다루는 위에서 언급한 소재들은 대부분 맥거핀으로 기능한다. 달리 말해 이 소재들은 그 자체로 작가가 관심 가지는 대상이라기보다 오히려 그 대상을 담아내는 표면을 드러내기 위한 수단으로서 존재한다.

대학 시절 그가 그린 <Untitled>(2011)를 예로 들어보자. 여기서 화면의 중심을 차지하는 형상은 90년대에 중산층 사이에 유행했을 법한 2층 양옥집이지만, 이희준이 그림을 통해 보여주려고 했던 것은 이 형상 자체보다는 그 형상을 덮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노란색의 막이 아닌가 싶다. 이는 프로젝터의 고장으로 노랗게 잘못 투사된 사진 이미지를 보고 이희준이 캔버스에 유화로 옮긴 그림이라고 한다. 이때 그가 그린 것은 양옥집이라기보다는 오류가 발생한 이미지 혹은 이미지의 오류 자체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

스피커를 그린 그의 그림은 또 어떤가? 이희준은 올해 초 열렸던 개인전 《The Speakers》에서 영등포 위켄드의 네 평 남짓한 작은 공간을 스피커를 그린 그림으로 채웠던 적이 있다. 그런데 여기에서도 강조되는 것은 눈에 보이는 스피커 자체라기보다 실제로 음악이 흘러나왔다면 그 음악을 통해 진동했을 캔버스의 표면이라고 해야 할 것 같다. 정육면체 모양의 위켄드 공간은 그 자체로 스피커를 닮았기에 이희준이 스스로 “시각의 청각적 체험”이라 부른 것을 실로 경험하게 만들었다.

그가 관심 갖는 막은 종종 회화의 표면 자체가 되기도 한다. 이희준은 거의 강박적이라고 느껴질 정도로 그림의 표면에 주목한다. 그의 거의 모든 그림은 하드엣지(hard-edge) 계열의 회화와 같이 면과 면의 경계를 날카롭게 구분한다. 붓질은 최소화되어 나타나며, 강조되더라도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형태로 제시된다. 그리하여 그의 그림은 그 자체에서 공산품의 느낌이 물씬 느껴진다. 재현하는 대상이 따로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대상보다 그림의 표면이 더 살아있는 것처럼 두드러지는 형국이다.

이런 까닭에 이희준이 어떤 대상을 재현한다고 한다면 재현하는 대상과 이희준이라는 작가 사이에는 최소한 이중삼중의 막이 존재하는 셈이다. 이런 구조는 그의 작품으로부터 어떤 고전적인 효과를 찾는 사람들의 기대를 저버린다. 표면 너머의 대상 쪽에 미련을 두면 둘수록, 그림의 의미는 자꾸 표면 위로 미끄러져 흘러내린다.

이번 전시에서 이희준의 시선이 머무른 곳 또한 이러한 막이다. 전시작은 모두 블라인드와 그것의 그림자를 그린 회화와 드로잉이다. 작가는 인테리어 공사를 방금 마친 자신의 집 거실 벽면에 에메랄드빛으로 블라인드의 그림자가 맺힌 것을 보고 그것을 소재로 삼기로 했다고 한다. 그런데 여기서도 그가 주목하는 부분은 블라인드라는 대상 자체보다는 찰나적으로 맺힌 이미지의 표면과 그것의 변주이다.

이희준은 이번 전시의 설치가 끝난 직후 평문을 쓸 사람으로서 남들보다 먼저 전시를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나에게 주었는데, 이때 나의 눈에 가장 먼저 들어왔던 것은 역시 그림의 표면이었다. 무엇보다 흥미로웠던 것은 다수의 그림 표면에 광택이 없다는 사실이었다. 마감을 위해 그의 손에 들려 있는 붓과 물감은 유화의 재료였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광택을 없애주는 매트 바니시라는 미디엄을 사용했다고 그는 말했다. 반대로 광택이 가미된 부분은 지나칠 정도로 많은 광택이 났다. 표면에서 또 한 가지 흥미롭게 다가온 요소는 그림의 레이어와 붓질이었다. 멀리서 봤을 때 일견 밋밋하고 얄팍하게 보였던 회화의 표면은 이희준이 일부러 표시한 것으로 보이는 붓 자국으로 빼곡히 메워져 있었으며, 캔버스의 모서리에는 수차례 겹쳐 올린 층들이 드러나 있었다.

이희준은 그림의 이러한 표면에 “스킨”이라는 훨씬 더 가벼운 느낌의 이름을 붙여준다. 가볍다고 했지만 사실상 무게가 없다고 말해도 무방할 것이다. 스킨이란 알다시피 피부나 껍데기를 뜻하는 용어이면서, 웹상에서 사용자 화면을 취향에 맞게 변경하는 데에 사용되는 그래픽이나 음성 파일을 동시에 가리킨다. 그는 인터넷 게임이나 카카오톡의 배경화면을 고르듯 이 이미지를 가뿐히 차용하여 회화의 표면 위에서 또 다른 차원의 스킨들을 다양하게 가공해 나간다.

스킨이라 명명한다고 해서 물감의 두께와 무게가 사라질 리는 만무하다. 하지만 이희준의 이러한 전략은 회화의 가능성을 지나치게 많이 이야기하는 반대의 전략에 비해 최소한 기만적이지 않아서 좋다. 무게와 두께가 없는 이미지의 종류와 양이 나날이 늘어나는 오늘날, 회화 작가인 이희준은 자신의 손에 든 재료의 가능성을 과시하는 대신에 항로를 바꾸는 방식을 택한다. 그는 표면의 물감이 스스로 다른 매체들에게 말을 걸도록 유도한다.

Heejoon Lee, a painter, has been working with various artificial objects found in the city such as architecture, interior design, and speakers for the last six to seven years. However, I think it seems like his genuine subject of study is, in fact, headed toward a different direction. I believe the surface or the layer is a key term to define his work. The list of the objects that I mentioned above may be used as a MacGuffin. In other words, these materials exist as a means to reveal the surface of an object rather than as the subject in which the artist is interested.
 
Let consider Wowsanro 29gagil 84 (2011),a painting he worked on in college. At the center of the work, there is a two-story Western-style house, which was probably the trend during the mid-90s in Seoul, but what he intended to show is not the shape itself but a yellow layer that covers the shape. A malfunctioning projector projected this image in yellow, and he decided to paint it with oil. Thus, perhaps I should call it an image with an error or an error itself rather than an image of a Western-style house.

Then what about The Speakers (2017) Earlier this year, Lee had his solo exhibition at Weekend, where he filled an approximately 142-ft² space in Yeongdeungpo with his paintings of speakers. Here again, what we need to think about is the surface of the canvas, which would have vibrated if there were an actual speaker playing songs. The cubic space of Weekend, which resembled the shape of a speaker, allowed the audience to actually experience what Lee called, “the auditory experience of vision”.

The layer he is interested in sometimes becomes a painterly expression itself. Lee almost compulsively pays attention to the surfaces of his paintings. Almost all of his paintings have sharply distinguished boundaries among the surfaces like a hard-edge painting. The brushstrokes are minimized and stay in a systematic and repetitive form even if emphasized. As a result, we can feel the heavy atmosphere of industrial products. Although he represents a specific object in his work, the surface of the painting stands out more vividly than the object.

For this reason, when he portrays an object, at least two or three layers exist between the artist and the object. This structure shocks those who expect a classical effect from his works. The more you linger on an object, the more you let the significance of the work slip on the surface.

In fact, Lee’s perspective remains the same in this exhibition. The subject of the drawings and paintings is a window blind. The artist was inspired by the blind’s projection of an emerald-green shadow on his living room wall after his new interior construction. Again, he focuses on the moments of the surface of an image that instantly revealed and how it varies over time.

When I visited the exhibition space right after the installation, the first thing that crossed my eyes was, again, the surface of the works. Interestingly, most of the paintings had a matte finish in some parts even though he used a brush and oil paint to finish the works. He said he used a matte varnish to remove the glossy surface. Conversely, the glossy area was overly polished. Other interesting elements were the layers and the brushstrokes. From a distance, the surface of the painting looks very plain and shallow, but as I get closer, I could notice a surface filled with brushstrokes and overlapped layers at the corner of the canvas.

Lee gives the much lighter name of “skin” to this surface, which may well be called weightless to this surface. In general, skin is a term for the outer tissue or shell, and at the same time, it refers to a graphic or voice file used to adjust a user’s screen on the web based on their preference. As if choosing the background of Internet game or KakaoTalk(a popular messenger in S. Korea), he lightly borrows images and applies them to another level of skin on top of the painting surface.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e thickness and the weight of the paint will disappear just because it is defined “skin”. At least it comes fresh for me when I compare the use of strategy of overemphasized possibility of painting to his strategy, which is admitting the flatness of surface. In the circumstance where images without weight and thickness overflows, a painter Heejoon Lee is choosing a different way of painting rather than overstating the medium. He encourages the paint on the surface to calls out other mediums.


빛과 그림자를 평평하게 옮기는 방법 :
이희준 개인전 《에메랄드 스킨》(이목화랑, 2017.11.17.~12.9) 리뷰

How to Flat-Out Light and Shadow
: Emerald Skin, Heejoon Lee’s Solo Exhibition Review


글_최정윤
Text by Jeongyoon Choi
번역_이나정
Translated by Najung Lee
11. 2017

전시장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파란색, 녹색, 군청색, 보라색까지 푸른 계열의 색채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하모니를 만들어내는 모습을 마주하게 된다. 색채가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까닭은 화면 위에 펼쳐지는 형태가 기하학적(geometrical) 선과 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작가에 의하면, 이번 전시는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빛의 양과 블라인드 각도에 따라 그 위에 생성되는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를 다룬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가정이나 직장에서 사용하는 일상적 오브제인 블라인드는 이희준이라는 작가의 눈과 손을 거쳐 새롭게 재해석되고, 색과 선과 같은 조형요소의 자유로운 결합을 통해 총 11점의 유화 작업과 30점의 드로잉으로 구현됐다.

2016년 9월, 이희준이 첫 번째 개인전 《Interior nor Exterior: Prototype》(기고자)에서 선보인 일련의 작업은 도시에서 발견할 수 있는 다양한 양식의 건축물과 건물 내부 인테리어 등 일상 속에서 접하는 건축적 환경의 조형성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됐다. 두 번째 개인전 《Speakers》(2017, 위켄드)에서는 관심의 대상이 여러 종류의 스피커로 옮겨갔으며, 이번 《Emerald Skin》(2017)에서는 블라인드를 다루고 있다. 작가가 어떤 대상을 다룰지에 선택할 때-물론 해당 시기에 그가 관심을 둔 소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겠지만-주제적으로 그것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는 인상을 받는다. 오히려 그의 작품에서 핵심적인 요소는 그가 대상을 바라보고 화면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거치게 되는 환원의 과정 그 자체다.

대상을 2차원의 평면으로 옮기기 위해 작가는 가장 먼저 하나의 주제를 결정하고, 그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수집한다. 그 이미지들은 작가가 직접 경험하거나, 직접 촬영한 이미지여야 할 당위가 없는데, 그 이유는 회화 작품 안에 개인적인 감정이나 서정적인 내러티브를 담고자 하는 의지가 없기 때문이다. 작가는 지극히 3인칭의 시점에서 수집한 이미지를 두고 이리저리 줌-인 혹은 줌-아웃하는 과정을 거치며, 사진을 크롭(crop)한다. 마치 실험대 위에서 관찰대상을 마주한 과학자처럼 말이다. 입체감을 가진 3차원의 오브제는 잘려나간 사진 안에서 선과 면, 색으로만 구성된 평면으로 치환된다. 이 과정에서 이희준은 펜, 색연필, 마커 등을 사용해 수많은 드로잉을 남긴다. 이는 다양한 색과 선의 실험을 통해 새로운 언어로 번역해내기 위한 일종의 초벌 작업에 다름 아니다.

앞서 선보인 두 번의 개인전에 출품한 작품들에서는 대부분 아크릴 물감을 사용해 매트한 화면을 만들어냈다면, 이번 전시에서 가장 특징적인 차이점은 유화로의 재료적 변화에 있다. 드로잉에서 그치지 않고, 캔버스로 또 한 번 변용되는 과정을 통해 그의 실험은 일단락을 짓는다. 그는 일정한 분량의 흰색 물감을 섞어 색의 그라데이션(gradation)을 만드는데, 그 붓질 역시 일정한 점으로 집적되어 화면 위에 고스란히 드러난다. 반복적인 노동을 통해 물결처럼 남아있는 붓질은 납작하게 치환된 표면 위에 새로운 생동감을 불어넣는다. 앞서 어떤 대상을 그릴지에 작가가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지는 않다고 언급한 바 있는데, 그러나 대상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이 표현 방식에 영향을 주고 있는 듯하다.

빛은 회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다. 윤곽선과 그림자, 그리고 빛은 대상을 더욱 입체적으로 보이게 만든다. 다시 말해, 회화의 역사에서 우리는 빛과 그림자의 표현을 통해 회화적 표면에서 삼차원적 현실성을 구현할 수 있었음을 알고 있다. 블라인드는 빛에 영향을 받고, 그림자를 필연적으로 만들게 된다는 점에서 이전에 이희준이 다루었던 건축적 환경이나 스피커와는 성질이 다른 대상이다. 화면으로 평평하게 옮기는 그의 번역 방식에 일종의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작가 역시 블라인드를 다룸에 있어서 빛과 그림자를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고 판단한 듯하다. 전시장을 몇 바퀴 돌아도 직접적으로 묘사한 그림자는 <Venetian Blind no. 3>에서만 발견할 수 있었다. 다른 작품들에서는 그라데이션의 방식으로 색을 사용하거나, 표면 위에 올라간 물감의 양으로 굴곡을 표현하거나, 표면의 질감을 다르게 마무리하는 등의 방식을 취했다. 이러한 재료의 실험은 평평함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그가 빛 혹은 그림자를 표현할 수 있는 예외적 방식이었던 듯하다.

일전에 농담처럼 팬톤(pantone)에서 매 시즌 선정하는 트렌디한 컬러로 작품을 제작하는 것은 어떨지 이야기한 적 있다. 어떤 대상을 실험대 위에 놓을지 결정하는 것만큼이나, 어떤 톤의 색으로 그 실험을 집도할지 결정하는 데에도 사사로운 의미 부여를 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 그래서일까, 이번 전시를 아우르고 있는 색의 분위기가 푸른 톤이라고 해서, 차갑고 정적이며 차분하다는 등의 감상평을 남기는 것이 매우 어울리지 않는다고 느껴졌다. 회화의 주제가 되는 대상에서도, 그것을 표현하는 방식에서도 작가 개인은 지극히 객관적이고 일정 수준 이상의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거리두기’가 그의 실험을 더욱 흥미롭게 만든다고 생각한다.

만약 이전 세대의 추상 미술과의 차이를 찾는다면, 그것은 아마 지극히 단순하고 직설적인 언어적 표현에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과학자, 디자이너와 같은 어떤 ‘무심함’으로 회화를 대하는 태도, 매우 건조하게(dry) 느껴질 정도의 선택의 과정들은 그가 앞으로 해나갈 또 다른 실험을 기대하게 한다.


When entering the gallery, you may first notice the harmony of the colors ranging from blue, green, ultramarine to purple. The colors are the first thing noticed, because the shapes are comprised of geometrical lines and planes. According to the artist, this exhibition deals with “various geometrical shapes created by different amounts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window and the angle of the blind.” A window blind is a mundane object that we encounter everyday, but through the artist’s eyes and hands, it is reinterpreted with unconstrained formative elements, such as lines and colors, into 11 oil paintings and 30 drawings.

In September 2016, Heejoon Lee held his first solo exhibition, Interior nor Exterior: Prototype (KIGOJA). It dealt with the formal quality of the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 including diverse building styles and interior designs. Then, his interest moved on to different types of speakers, as seen in his second solo exhibition, The
Speakers (2017, Weekend), and finally to window blinds in this current exhibition Emerald Skin (2017). The subject of the painting may reflect his interest each time, but it seems like he did not place a huge importance on it. Rather, the key point is the inevitable process of abstraction that the artist does when he goes through his work.

In order to move an object to a two-dimensional plane, the artist first chooses a subject matter and assembles images accordingly. Those images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experience of or taken by the artist, since the purpose is not to contain his subjective emotion or lyrical narrative. Rather, he goes through the images that he collected in a third-person view, zooming into or out of the images and cropping them like a scientist observing an object.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s converted to a flat plane with lines, planes, and colors. Lee records this drawing process with pens, colored pencils, and markers as a rough draft to translate his experiments on lines and colors into a new language.

For his first and second exhibitions, Lee frequently used acrylic paints with matte finishes; however, this time, he chose oil paints as a medium. In addition, by going from drawing to painting, this experiment has been concluded. He mixed a certain amount of white paint to create a color gradation, and the brushstrokes remained like repetitive marks. Through recurring labor, the gesture of brushstrokes applies vitality on a flat plane. I mentioned earlier that the artist does not emphasize the object on the canvas, but its intrinsic value does affect the method of expression.

Light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lements in painting. Outline, shadow, and light make an object look even more concrete. To rephrase this, we already learned that we can create a three-dimensional reality on a painterly surface with light and shadow from the history of painting. Since the blinds are an object which reacts with the light and inevitably create shadows, they become different from his previous architectural environment or the speaker. His way of translating the object to a flat plane generates an error. It seems the artist also admits that it would be impossible to remove the light and the shadow completely when dealing with the blinds. Only Venetian Blind no. 3 depicts those elements directly, and other works treat them by applying a color gradient or a different amount of paint or different surface texture. This experiment on the material was an exceptional way to express light or shadow while maintaining flatness.

One day Lee made jokes about using Pantone’s color of the year to create works. It seems he does not emphasize choosing the color as much when he is choosing an object to paint. That is why I decided not to emphasize the overall tonal color of the exhibition, as it would be inappropriate for me to write a review of the show with words such as icy, silent, and tranquil. The same applies to the way he treats and expresses the objects of his works. Lee is trying to keep a certain amount of distance from it and maintain an impartial perspective. In addition, this distance makes the work so much more interesting.

If there were a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abstract art and that of the past generation, it would be the simple and straightforward expression nowadays, something similar to the language of scientists and designers. This attitude of treating paintings with indifference and making very dry selections makes me look forward to his upcoming experiment. 



SPEAKERS -울림의 공간
SPEAKERS - SPACE OF RESONANCE



글_이 채
Text by Chae Lee
번역_이나정
Translated by Najung Lee
03. 2017


평면이든, 입체든지 간에 예술 작품은 형식에 상관없이 저마다 나름의 형용할 수 없는 어떤 느낌을 자아낸다. 이는 예술이 우리의 감정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감정적 힘을 지닌 예술은 마치 소리가 무엇인가에 부딪혀 되울려 나오는 현상인 울림과도 같다. 그렇게, 예술은 울림의 방식으로 말해질 수 없는 섬세한 감정들을 자극하며 마음을 움직인다. 혹자는 예술의 형용 불가능성에 대해 클리셰가 되어버린 표현이라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분명한 것은 ‘형용할 수 없음’은 예술의 중요한 요소임과 동시에 예술 작품이 지니는 힘을 상징하는 것이다. 작가란 누구인가. 어떤 대상이나 현상에 의해 내솟는 울림을 영민하게 형상화하는 이가 아닌가. 소리가 들리기 위해서는 음들이 진동할 공간이 필요한 것처럼 작가도 자신의 울림을 위해서 자신만의 공간이 필요하다. 즉, 울림이 주는 내밀한 사건을 작가는 끈질기게 포착해서 자신만의 공간에 표현하는 것이다.

우선, 이희준의 작업에 나타나는 공간을 보자. 작은 이미지 드로잉 <Speaker Practice Vintage Images>(2017)에서 볼 수 있듯이 그는 형태가 주는 조형적 요소에 대한 관심에서부터 작업을 시작한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작년 기고자 전시 《INTERIOR NOR EXTERIOR: PROTOTYPE》(2016)에서 본 전시인 《The Speakers》(2017)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지난 전시가 건축물이라는 비교적 넓은 시야를 가지고 회화적 작업이 이루어졌다면 이번엔 그에 비해 매우 작은 오브제인 ‘스피커’에 집중한다. 이러한 관심의 흐름이 다소 비약이 있어 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 존재하는 건축물 이미지를 가지고 평면적인 화면을 이용해 내부도 외부도 아닌 가상의 공간을 만들어 작업을 풀어나갔던 그가 평면적으로 재구성된 스피커를 통해 전시장 공간 자체를 가상의 공간으로 바꾸어놓고자 했다는 점에서, 어쩌면 건축물에서 스피커로의 시선 이동은 순서의 차이일 뿐 자연스럽게 여겨진다. 그는 계속해서 그만의 공간-그 공간은 물리적 공간이나 작가의 마음속 공간이 될 수도 혹은 스피커와 같이 어떤 것이든 될 수 있다.-에 대해 평면적 탐구라는 동일한 회화적 주제의식 속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희준의 공간은 중의적이며 그의 작업 전체를 관통하는 의식이라 하겠다. 예를 들어 과슈로 그린 작은 페인팅은 시리즈인 <Speaker Practice Gouache Drawing 1-18>(2017)은 작업실에서 작품을 전체적으로 볼 수 없어서 그리게 된 드로잉인데, 드로잉을 하게 된 계기에서 알 수 있듯 그가 작업할 때 공간이란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엿볼 수 있다. 그만큼 그의 작업함에 있어서 공간은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여기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앞서 말했듯이 그의 울림은 대상의 형상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에게서 공간에 대한 의식과 평면성에 대한 의식이 대립하기보다는 공간은 평면으로 평면은 공간이 된다.

아홉 개와 세 개의 캔버스로, 총 열두 점으로 구성된 작품인 <Speaker Practice 1-12>(2017)에서 스피커가 그에게 건네준 울림은 어떻게 형상화되었을까. 그가 느꼈을 울림은 단순히 스피커가 소리를 내는 사물이기 때문이 아니라, 스피커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생김새인 반듯한 구조와 다양한 형태들의 부품에서 비롯된다. 그리고 비개념적이고 규정성을 지니지 않은 감정의 울림을 한번의 포착만으로 회화적 작업으로 표현해 내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아크릴릭을 여러 번이고 덧칠한다. 그런 이유로, 얼핏 그의 작업을 보면 플랫한 평면처럼 보이지만 가까이 다가가 자세히 관찰해보면 서로 다른 두께의 아크릴릭이 겹쳐지고 발라지면서 미묘한 느낌을 만들어 낸다. 마치 화면이 진동하고 있다는 듯이 붓자국이 남아 있으며, 톤 변화를 주며 그라데이션으로 얇게 쌓아올린 배경에서는 소실점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깊이감이 느껴진다. 또한 화면에서 주도적으로 위치하는 빨간색 원 주변으로 크고 작은 원들이 배치되어 있는 콤포지션은 리듬이 느껴지는 어떤 선율의 흐름이 나타난다. 하지만 그 흐름은 방향성 없이 마구잡이로 흘러가지는 않는다. 원형의 형태 주변을 에워싸고 있는 선들과 배경들은 움직이는 듯한 조형요소들을 확장하기도 축소하기도 하면서 울림의 공간을 만들고 구획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검정 선들은 자칫 스피커라는 대상이 사라지고 작가가 느꼈던 울림만을 남는 것을 막아주고 있다. 이런 회화적 시도에 의해 그의 작업은 평면과 입체, 사실적인 이미지의 재현도 순수한 추상도 아닌 중간 어디쯤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희준는 어떻게 울림의 공간을 만들어내고 있는가. 스피커 시리즈는 그가 스피커를 통해 느꼈던 울림의 공간을 구현하기 위해 스피커를 임의적으로 자르고 재배열한 흔적들을 볼 수 있다. 스피커의 모습은 사라지고 직선과 곡선이 서로 대립하면서도 조화를 이루는 그만의 형과 색으로 변환된다. 그 결과 작품들은 임의적인 움직임을 응집하면서 캔버스 화면의 프레임은 문제가 안된다는 듯이 유기적으로 중첩되기도 하고 충돌하기도 하면서 추상적 결과물인 울림을 만들어 내며 뻗어나간다. 그럼, 그의 울림은 어떤 공간인가. 그가 구현한 울림은 구체적 대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할 수 없는 무언가를 들려주는 것, 헤테로토피아! 그의 작품으로 둘러싸인 전시장은 더 이상 실제 전시장이 아닌 울림을 위한 가상의 공간이 된다. 울림만을 위한 공간이다. 전시 공간의 중앙에 서서 시선을 옮겨 다니다 보면 어느 순간 전시장도 그의 작품도, 더 나아가 스피커라는 특정한 대상조차도 사라지고 울림만이 남게 된다. 색과 형태들의 조화와 충돌이 만들어내는 회화적 음들의 세계가 펼쳐진다. 어쩌면 이희준이 그려낸 스피커는 단순히 추상적 결과물로서 시각화되었다기보다는 스피커가 그려진 2차원 평면 자체가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으로 확장되었다고 말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는 스피커라는 소재를 통해 공간 자체를 각색하고 있는 것이다.

작가는 자신의 울림을 작업에 그려내고 관람객은 작품을 통해 또 다른 어떤 울림을 얻는다. 전시장은 이렇게 작가의 울림과 보는 이들의 울림이 공명하며 형용할 수 없는 어떤 느낌들로 가득 메워진다. 그렇다면, 이희준의 울림은 무엇인가. 그가 포착한 울림이 어떻게 들리는 것일까. 그 이유는 조형성에 대한 추구가 단순히 대상이 지니는 상징성만을 구체적으로 묘사하기보다는 대상에 의해 느꼈던 느낌들을 자신의 회화적 언어로 바꾸어 나가는 지점에 있다. 더 이상 스피커는 스피커로서 남아있지 않는다. 본래 대상이 지니는 형상성은 제거되고 그만의 회화적 언어로 가공되며 그가 느꼈던 형태로, 회화의 방식으로 붓을 통해 끈덕지게 재구성된다. 종국에는 회화로 귀결되고자 하는 그의 작업 태도와 맞닿아 있는 모습이다. 따라서 총체적으로, 이희준의 작업을 살아 움직이게 하는 것은 화면에 내적으로 조직되어있는 회화적 감각의 울림에 의한 것이다.


Whether flat or solid, individual art work arouses its own inexplicable feelings regardless of its form – art is connected to our emotion. Art with emotional force is similar to an echo, a reflection of sound from the surfaces; art stimulates a delicate emotion beyond the words to speak to the heart. Some claim that it is almost cliché to talk about indefinability of art; however, ‘inexplicability’ is, indubitably,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art symbolizing its essence. What is the role of an artist? It is to materialize a reverberation of an object or phenomenon accordingly. As sound waves need a space to travel, it is important for artists to hold personal space for their own resonance as well. In other words, they persistently capture discrete incidents caused by vibration and present those incidents in their own space.

First, let’s take a look at the space in Heejoon Lee’s works. From a series of small image drawings, Speaker Practice Vintage Images (2017), he is triggered by the plasticity of elements in a formative structure. This interest continues from his first solo exhibition, INTERIOR NOR EXTERIOR: PROTOTYPE (2016) to the current exhibition, The Speakers (2017). While he focused on architecture for the last show, this time, he narrowed his perspective to a rather smaller object, speaker. This may be a slight jump in a theme, but it is a reasonable movement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artist, who had created a neither interior nor exterior space with architectural images is now changing the entire exhibition space into a virtual one with a restructured speaker on a flat surface.

He continues to explore with the same subject, a flat surface in his own space – the space which can be his physical space, mental space, or even a speaker among others. In this context, his space has a dual meaning and becomes a consciousness which penetrates through his oeuvre. For example, he made Speaker Practice Gouache Drawing 1-18, a small painting series in order to get a large picture of the whole exhibition view due to his small studio space. This reveals how much space is significant to the artist. Once again, his vibration originates from the form of an object. To the artist, the consciousness of space and that of a flat surface do not contrast; rather space becomes flat, and vice versa.

Then how is the reverberation of the speaker projected on Speaker Practice 1-12 (2017), a 12-canvas series of works? The speaker, for the artist, is not a simple medium for sound, but is an assembly of a structure and various components. Because it is impossible for him to capture the vibration of neither conceptual nor regulated emotion at a glance, he paints acrylic on canvas repeatedly. For that reason, his works may seem flat at a distance but when seen closer, layers of colors and different thicknesses of paint arouse subtle emotions. The surface is filled with brush strokes as if it is vibrating, and the layered background with tonal gradation alludes to depth even without a vanishing point. Moreover, the composition of small circles around bold red circles presents a melodic flow of lines. Those geometric figures and lines, however, are in fact not improvised. They allocate or create space for resonance by enlarging or subtracting formal elements. Especially the lines in black prevent the possibility of the speaker from vanishing as an object and leaving only reverberation behind. Based on this painterly attempt, his works are placed somewhere between flatness and solidity, and representational image and pure abstract image.

Then the question of how Heejoon Lee creates the space of resonance follows. In order to realize what he felt through the speakers, he arbitrarily cropped and rearranged the images. Now the form of the speaker vanishes and turns into a new color and form where lines and curves contrast yet harmonize. As a result, regardless of the limit set by each canvas frame, the paintings overlap or conflict with each other by clustering arbitrary movements to form an abstract outcome, ‘resonance.’ Then how do you define this space? It is a realization of an indescribable object despite its specificity —  Heterotopia! Now the exhibition space no longer embraces the reality; it is a virtual space only for reverberation. Let yourself stand in the middle of the exhibition space and submerge into each work of art. Then there will no longer be an exhibition space, paintings, or even specific objects like a speaker. What is left in the space is ‘reverberation.’ There lies a pictorial yet auditory world created by collision and harmony of colors and shapes. Perhaps, a painted speaker by Heejoon Lee is rather an expansion of two-dimensional space into heterotopia space than just a visualization of abstract outcome. Namely, he is adapting the space itself via the speaker. 

The artist paints his resonance and the audience acquire their own through the works. The space is filled with shared reverberations in addition to undefinable emotion. Then what is Heejoon Lee’s resonance and how does it get transferred? In spite of depicting a mere symbol of an object, he is attempting to transcend his emotion into a visual language in painting. The speaker is no longer itself. The original form of an object is removed, transformed into its own language, and restructured into a new language with brush strokes — this is his attitude to conclude his work into painting in the end. Overall what makes his work prosperous is his painterly sensorial resonance, organized innately on a surface.


납작하게 짓는다는 것 : 《Interior nor Exterior: Prototype》에 관하여 Building Flatways: Study on Interior nor Exterior: Prototype


글_추성아
Text by Sungah Serena Choo
번역_임다운
Translated by Alba Dawoon Lim
09. 2016

“…주변의 풍경이 더 이상 사실 같지 않을 때까지. 찰나 동안이라도…장소 자체가 기이해질 때까지. 마을이 무엇이고, 거리가 무엇이며, 건물이나 포장도로가 무엇인지 더 이상 알 수 없게 될 때까지.” (조르주 페렉, 1974)


우리는 건축물이나 사물을 보면 어김없이 그것 각자가 자리잡고 있는 위치에서 역사적이고 개인적인 환경과 연결시켜 인식하게 된다. 우리는 우연히 마주친 장소의 벽 색깔, 천장 높이, 거리 구조에 따라 자의적인 연상을 하는 등 건축물이 보여주는 물리적인 매체와 형식을 감정이나 관념으로 인지한다. 그 결과 건축이 담고 있는 공간과 표면의 여러 양식은 우리가 그것과 조우했던 순간과 배경의 감정적 기념물이 된다. 유리의 여러 면들이 날카로운 선으로 불평 없이 만나는 상황, 콘크리트 벽면과 기둥들이 지붕과 어색함 없이 맞닿는 상황처럼 어느새 도시 풍경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건축물의 특징들은 공통된 문화적 산물이 되어버렸지만 분명 그것이 무엇인지 알 수 없는 기이한 풍경으로 다가오는 찰나들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한편으로는 ‘시간’을, 다른 한편으로는 ‘공간’을 상상과 개념 속에서 파악하려는 태도는 공간에 있어서 깊이와 구조 같은 실제적인 것들을 생략시키고 관찰자의 망막으로 더욱 평평하게 추상화된 외피(skin)들을 더듬어 나간다.

이희준은 모더니즘의 페티시적인 특성이 강조된 커튼월의 유리 건축, 경제성이 구현된 현대적이고 민주적인 콘크리트 벽면과 기둥, 반복적인 형태의 계단 그리고 구조적인 뼈대가 강조된 사물에서 드러나는 질서와 복잡성이 병치되는 지점을 찾는다. 그는 강한 이미지를 불러일으키는 공간의 물리적 요소들과 일상의 건축환경에서 추상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형태, 배열, 색이 도드라진 미니멀리즘적 감수성의 건축 이미지를 차용하여2차원의 캔버스 화면으로 가져온다. 여기서 수집된 건축 이미지는 대부분 디지털 이미지로 존재하거나 그 과정을 거친 이미지들이다. 이미지를 해체, 분할하여 조합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의 이미지에서 특정 부분을 크롭함으로써 대상의 정보가 잘려나가면서 본래의 대상이 가지고 있는 재현적인 형상이나 의미와 가치가 제거된다. 이희준은 남겨진 화면에서 그 구조의 단면을 바라보고 지극히 납작해진 공간의 표면을 회화적인 표상으로 치환한다. 

공간의 시간성이 드러나는 요소들은 임의로 잘려나가 걸러진 화면에서 회화라는 장치를 통해 절단된 공간의 형태로 나타나거나 캔버스 위에 미묘한 공간감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를테면, 화면에서 구성요소들의 소실점을 배제시키고 각각의 경계에서 공간감을 실험하는가 하면 또, 물감 색조의 차이가 만들어내는 내부와 외부의 거리감을 모호하게 하는 시도를 하기도 한다. 실제 이미지 속에서 콘크리트 벽 뒤에 가장 원경의 층계에 드리워진 그림자의 음영이 사라지고, 캔버스 화면에 일련의 붓 자국으로 표현하는 등 대상에 대한 작가의 인식이 공간에 표피적으로 투사되는 것을 볼 수 있다. <Interior nor Exterior no. 4~7>(2016) 시리즈의 회화는 작가가 건축 공간의 재료와 구조, 장소(site)와 프레임이 자신이 구축한 화면 안에 이미지의 효과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탐구해 보는 프로토타입들이다. “Interior nor Exterior”는 내부도 외부도 아닌 것을 의미하듯이, 공간과 평면을 탐구하는 데에 건축물이나 사물의 내부와 외부가 서로 충돌과 전복을 반복하면서 때로는 눈속임 회화(trompe-l’oeil)처럼 안과 밖 그 무엇도 아닌 순수한 시각적 환영(optical illusion)을 허용하기도 한다.

화면 위에 각기 다른 붓터치들은 아주 얇은 표면에서부터 끈적한 마티에르를 두텁게 올리는 작가의 태도로써 회화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장치들을 화면에 충실히 보여준다. <Interior nor Exterior no. 4>(2016)의 경우, 캔버스 화면이 아홉 가지의 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중앙에 가까이 위치한 예각의 아주 가늘고 날카로운 흰색 삼각형은 이희준의 프로토타입들 중에서 물성이 가장 두드러진 두께감있는 색면일 것이다. 반면, 가는 흰색 실타래를 엮어놓은 듯한 물성은 양 옆의 얕은 표면에 의해 그 자체만으로 매우 건축적으로 다가오기까지 한다. 이희준은 콘크리트나 유리 벽면과 같이 건축 외피가 드러나는 부분은 물감의 질감과 색채를 통해 그라데이션을 표현하므로 화면에 감각적인 리듬감을 주며 흑백 면들을 삽입하여 투시도적 공간감을 초월하는 모순적인 화면을 구성하기도 한다. 이처럼, 화면에서는 건물의 형태가 두드러지지 않도록 자칫 조각적이거나 압도적일 수 있는 이미지를 피하고, 묵직한 덩어리와 건축적 소재를 회화-표면의 즉물성에 대한 경험으로 대체한다. 동시에 프로토타입 시리즈는 큐비즘적인 외피와 같이 건축물의 상이한 기능들을 숨기면서 대상 자체를 도식적으로 묵살시킨다.

<Interior nor Exterior no. 1>(2016)은 작가가 유일하게 사물을 대상으로 한 걸개그림이다. 구체적인 형태의 구조와 기능이 여실히 노출된 바우하우스 양식의 의자는 두 개가 나란히 교차되어 수직으로 방향이 뒤틀어져있다. 두 장의 캔버스 광목천 각각에 마주하고 있는 이미지는 데칼코마니 방식으로 화면을 구성하며 의자의 꺾인 경계와 안과 밖의 면이 어릴 적 색칠공부하듯이 동일한 구역들에 동일한 색들로 채워져 있다. 마치 60년대 스텔라(Frank Stella)와 신조형주의(Neo Plasticism) 회화를 보듯이 색면추상(Color-Field Abstract)을 떠오르게 한다. 걸개그림의 화면에서 가장자리를 잡아주는 프레임은 존재하지 않고 불필요하게 남은 부분(left-over) 또한 없이 규칙을 이루는 색면들은 빼곡하게 채워져 어떠한 여백도 허용하지 않는다. 저만치 먼 발치에서 응시했을 때 화면 전면에 드러나는 곡선과 직선의 긴장감과 대칭의 구조는 하나의 원근법이 강조된 기념비적인 건축물로 다가오기도 한다. 역으로, 이 형상은 삶의 세계에 놓인 사물로도 평평한 표면 위의 형태로도 보이지 않는다. 단지, 이것은 시각적 장(visual field)이라는 특정한 영역에 놓인 부재(absence)로서 풍경인지 사물인지 그 무엇도 지시하지 않는 알 수 없는 표면(skin)일 뿐이다.

그렇다면 이희준의 회화는 무엇으로 규정해야 할까. 그동안 기호의 소비지상주의적 얄팍함과 사물의 연쇄적 반복성이 현대화된 건축과 회화에서 동시에 나타났듯이, 작가의 프로토타입 연작은 그 안에서 대상에 대한 상징보다는 공간 속의 형태와 구조를 2차원의 평면인 회화적 상황에 놓여있다. 실제 공간이 담고 있는 입체적이고 구조적인 공간들을 나열했을 때, 작가는 이미지로 세상을 보고 이해하며 단편적으로 대상에 대한 정보와 감각을 습득하는 현재의 방식에 걸맞게 그 부피와 질량보다는 평면적으로 납작하게 전환되는 모순적인 지점에 흥미를 가진다. 즉, 속도, 강도, 힘, 방향성 같은 역동적인 속성을 지닌 건축물의 “얼어붙은 동작(frozen motion)”들을 안도 밖도 아닌 압착되어 있는 풍경으로 회화적 환경에서 구현함으로써 보는 이들로 하여금 시각적이고 즉각적으로 받아들여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그의 회화는 감각을 쫓는 가공된 느낌의 강한 색면들이 잘려나가 서로 충돌함으로써 동시대 회화의 지표를 표면, 지지대(support) 그리고 물감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글의 전반부에 인용한 페렉(Georges Perec)의 문구는 이희준이 공간과 풍경을 향해 회화와 건축물에서 나타나는 평면적 벡터들을 추상적인 감각의 표피로 인식하는 태도와 닮아있다. 그의 글에서는 사물, 공간, 풍경, 시간이 집요하게 사실적으로 묘사되면서 어느 순간 그 대상들이 내포하는 삶의 방식과 생활 형식들이 함몰되고 독자는 그것들을 매우 추상적이면서 동시에 형식적으로 바라보게 된다. 위의 글에서 페렉이 언급한 “더이상 실체를 알 수 없는 기이한 풍경들”은 마치 실제공간의 은유인 회화에서 재현하는 관습에 저항함을 암시하는 것과 같다. 나아가, 이희준의 회화에서 드러나는 환영의 문제는 조각적이거나 재현적인 것이 아니라 추상의 시각적인 감각으로 이루어진 표피에 집중한다. 그리하여 회화가 갖는 상징적인 힘은 사라지고 본질에 가까운 회화의 명료한 제작 방식에 집중되는 형식적인 탐구를 한다. 회화의 지지대 위에 감각하는 찰나를 기하학적으로 짓고(build) 칠하는(paint) 행위는 표면이 공간만큼 중요해지고 또 외피에 대한 이해가 구조에 대한 이해만큼이나 중요하게 부각되는 순간임을 의미한다.

“Until the surrounded landscape become no more like real. Even for a moment… Until the site itself becomes odd. Until you don’t know what is the town, the street, the building or the road...” (Georges Perec, 1974)

When we are looking at the architectures or things, it is natural to perceive those by correlating the historical and personal environment from their own positions. It means that we are cognizing the physical medium and the format that the architecture shows us as emotions or ideals like following arbitrary association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wall, height of ceiling, and structure of the street that we came across. Therethrough the various styles of the space and the surface that the architecture contains became an emotional monument of our moment and the background of encounter. At some time, features of the architecture that easily can be found in the cityscape - Just like the moments that the several sides of glasses are facing without complain and that the concrete walls and columns are against the roof without awkwardness - became a common cultural products, however, still there is a momentariness that we felt those as unfamiliar landscape. Thus, an attitude that eager to grasp “Time” on the one hand, and the “Space” on the other hands in imagination and notions skips the actual things like depth and structure for space and fumbles the more flatten and abstracted skin with observer’s retina.

Heejoon Lee seeks the point where the order and the complexity is juxtaposing that appears from the building of glassed curtain wall that of Modernism’s fetish feature is accentuated; a modernized and democratic concrete walls and columns that the economic feasibility is materialized; stairways in repetitive form and things that the structural frames are highlighted. The artist brings the physical elements that arousing a powerful image and the architectural images of minimalism sensitivity, that the form, order, and color is remarkable which creates abstracted images from daily architectural environment, onto two-dimensional canvas frame. These collected architectural images are mostly existed as digital or have been digitalized. The artists cut off the Information of the subject by cropping the certain parts from the whole image, not by combining the dismantled or disassembled image. Thereby, the representative figures or the meaning and value are removed from where it originally belongs to. Lee finds the cross section of the structure from the left images and substitutes the extremely flattened surface of the space into a malerisch (picturesque) presentation.  

The elements that shows the temporality of the space, in the randomly cut off and filtered picture, appear in the form of cropped space or build a subtle sense of space on the canvas throughout the tricks of painting. For example, it excludes the vanishing point of the components on the canvas to experiment a sense of space on each border, or makes an attempt to blur a sense of distance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by the differences of shades. It is visible that the artist’s cognition of the object is projecting into the space superficial by the shade on the stairways located furthermost where behind the concrete walls is eliminated and replaced to the serial brushstrokes on the canvas.

The series of Interior nor Exterior no. 4 to 7 is a prototype that the artist explores how the medium, structure, site and frame of the architectural space work as an image effect inside the screen that he established. Like the meaning of the title, Interior nor Exterior, to explore the space and the flat surface, sometimes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of the architecture or the things allows a pure optical illusion which is neither in nor out like trompe-l’oeil over the collision and the overset on each other.

Different brushstrokes on the screen faithfully shows the minimum tricks of painterly expression which is equivalent to the artist’s attitude started from the ultrathin-layered-surface to the thick-layered-matière. In case of Interior nor Exterior no. 4, composed of nine different colored planes, the white acute triangle in the center shall be the one with the most noticeable properties of matter and thickness among the artist’s prototypes. On the other hand, the matière which is like a knotted skein of very fine white thread seems even constructive against the thin-layered-surface on both sides of it. Simultaneously, Lee forms a contradictory screen that transcendent a space perspective by giving sensuous rhythm and inserting black and white fields as he expresses the parts where shows the skin of the architecture, like concrete or glass walls, through gradation with texture and shade of the paints. Thus, the artist refrains the sculpture-like or overwhelming images to keep the indistintive shape of the building, and converts the volumed mass and the architectural materials into an experience regards to the objectivity of the paining-surface. The series of prototype conceals the disparate functions of the architecture and disregards the subject itself schematically like the cubist skin.

Interior nor Exterior no. 1 (2016) is the only scroll painting of the artists aimed at the object. Two Bauhaus chairs that exposing the structure of concrete form and the function are intersecting alongside each other and twisted to vertical direction. The images facing each other on the two canvas cottons are constructing the screen in decalcomania way. The folded boarder of the chair and the sides of in and out is filled with same color in the same place like a coloring play book. It reminds Color-filed Abstract paintings like those of Frank Stella in 60s and Neo Plasticism. There is no physical frame to fix the edge of the scroll and no margin is allowed with regular fulfilled color-fields without left-over. The structure of symmetry and tension of curved and straight lines could be found all over the screen through distant view seems like a monumental architecture emphasizing on single-perspective. Or, conversely, this shape also looks like neither a real objet on the real world nor a shape on the flatten surface. It is just an unidentified skin indexing neither landscape nor object as an absence lay down on the specific area of visual field.

If so, what could be the artist’s works defined. The artist’s series of prototype is lying down the shape and the structure from the space on the painterly situation, a two-dimensional flat surface, rather than the symbol of the subject, as the consumerist shallowness of sign and the chained repetition of objects is simultaneously appeared to the modernized architectures and paintings in the meantime. The artist views and recognizes the world by images when he lists the three-dimensional and structural spaces where the real space is containing, and dials into the contradictory point where the object converted into flatways rather than its volume and mass, suitable for the current methods to acquire the information and the sense of the object fragmentarily. In other words, it makes the audiences to embracing it visually and instantly by embodying the “frozen motion” of the architecture, that has dynamic nature of velocity, solidity, strength, and directivity, as pressed landscape neither in nor out on the painting condition. Therefore, Lee’s paintings could define the index of the contemporary painting as surface, support, and paints by the clash of cropped out color-fields which are chasing the sense and processed.

The words from Georges Perec quoted at the preface resembles to the attitude that Lee recognize the flat vectors appearing on the painting and architecture as the abstract surface of sense in regard to the space and landscape. The realistic description of an object, space, scope and time goes on pertinaciously in his words makes the ways and forms of life to collapse and makes the readers to see it very abstractly and formally at the same time. “The odd landscapes that you are not able to figure out its hypostasis anymore” that Perec mentioned above is equivalent to implying the custom of represent in the painting which is a metaphor of real space. Furthermore, what the matter of illusion from the artist’s oeuvre focus is not about sculptural or representative, but about the skin which is composed of visual sense of abstraction. Therefore, the symbolic power of the painting is vanished and study that focus on the clear way of producing more close to the essence of painting is processed. The action building and painting the sensory moment on the support of painting means the moment that the surface and the notion about the skin is highlighted crucially as much as the space and the notion about the structure. 



평면의 시간들
Flatten Times

글_이주희
Text by Juhee Lee
09. 2016



“조형적 구조와 표면의 감각으로 이루어진 회화적 세계를 구축해 나가는 과정”이자 “조형성의 추구와 생활세계에 대한 개인의 의견을 반영”(기획자)하고 있다는 이희준의 개인전이 기고자에서 열렸다. 작가는 건축물에 대한 피상적인 단순화를 그려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작가 자신이 공간을 수용하고 감각을 표현하는 하나의 방법론이자 연구과정을 ‘프로토타입’이라는 개념의 전시로 선보였다.

그가 제시한 작업은 화면 내부의 예각과 둔각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거나 뒤엉키는 경계들에서 어렵지 않게 건축물의 모티프를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작품에서 도드라지는 요소로 흑과 백을 포함한 높은 명도와 채도의 배열을 볼 수 있으며 먼셀색상환 각각의 사이에 자리할 혼합색조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색채의 대비는 첨예한 경계들을 강조하고 있으며 더불어 곡선의 경계 내에서 흐르는 듯한 인상과 그라데이션을 함께 보여주고 있다.

작가는 자신이 화면으로 불러올 피사체를 “내부도 외부도 아닌 어떤 공간”으로 상정했고 “현대의 건축적 조형성을 바탕으로 한 추상적인 풍경”으로 구체화 했다. 드로잉은 주제를 심화해 나가며 화면 속 조형을 확정 짓기까지의 과정이자 결과물이었으며 여기서 드로잉과 페인팅의 구분은 묘법과 소재에 의한 것이라기 보단 작가의 작업방식을 따르며 자신만의 조형언어를 드러내고 있다. 작업은 〈Interior nor Exterior-Oil Drawing no. 1-12〉(2015)로 표기된 드로잉과 〈Interior nor Exterior no. 1, 4, 5, 6, 7〉로 표기된 페인팅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제작 순서를 따르자면 2015년의 드로잉 이후 대형 페인팅〈Interior nor Exterior no. 1〉(2016)(이하 줄여 〈페인팅 no.1〉)이 등장했으며 다음인 4-7번의 경우 먼저 제작된 드로잉을 페인팅으로 옮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희준의 드로잉과 페인팅은 두 개의 평면에서 각각 다른 태도를 이야기하고 있다. 회화는 평면적이자, 사(史)적 집합의 관점에서 볼 수 있다. 연장선상에서 점선면과 색, 이들로 이루어진 화면 또 그것으로부터 발생하는 인상(印象) 등을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희준의 화면에서 도드라진 부문의 첫째 것이 색이라면 둘째의 것은 시간이다.

이러한 시간은 작가가 일정시간 피사체를 겪어내며 인상을 형성하는 ‘작가의 시간’과 작가가 화면으로 불러들여야 할 ‘피사체의 시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중 후자인 ‘피사체의 시간’은 피사체가 실재한 물리적인 시간과 사(史)적 시간을 효과적으로 중재하여 평면으로 수용하는 작가의 시선에서 찾을 수 있다. 드로잉과 페인팅이라는 구분에서 비교적 앞서 제작된 드로잉이 ‘피사체의 시간’을 적극적으로 평면 위에 수용하고 있다면 뒤에 제작된 〈페인팅 no.1〉은 작가가 피사체를 겪으며 마주했을 ‘작가의 시간’과 인상이 적극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페인팅 no.1〉의 경우 작가에게 드로잉 이후이자 페인팅의 시작이라는 분기점이 된다. 특징적인 부분이라면 다른 작품들과는 달리 사물인 ‘의자’를 피사체로 삼았지만 의자의 크롭된 영역의 형상을 따라 꺾어지는 화면 속 동세는 여전하다. 12개의 드로잉 중 다수에서 발견되는 그라데이션은 색에 있어 명과 암 쌍방으로의 이동 과정이며 회화의 진행이라고도 할 수 있는 붓질을 담아내는 시간이다. 원근이 적극적으로 연출된 화면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이는 단순한 색면회화 일색으로 보일 수 있는 화면에 라이트모티프로서 하나의 결을 떠오르게 한다. 그러나 페인팅의 경우 드로잉에서 발견되었던 ‘피사체의 시간’을 없애가며 색면의 밀도를 높이는 데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보인다.

현시점의 작업에서는 회화의 시간적 요소보다 작가가 소화해 낸 인상을 변환한 색면이 도드라진다. 이에 필한 것이 작가 자신만의 시공간을 받아들이는 방법일 것이고 이를 진전시키는 것은 ‘작가의 시간’에 준할 것이다. 이희준의 작업은 최소한의 회화적 표현을 지향해 나간다는 점에서 과거 미니멀로 이행되었던 색면회화의 한 반향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연구과정 중에 있는 평면으로 프로토타입 공개 이후 프로로토타이핑(prototyping)의 기간 동안 발생할 해석의 여러 층위들은 변화의 소지를 내재하고 있다.